조계종 출가 연령 제한 없애나

조계종 출가 연령 제한 없애나

김성호 기자
입력 2015-12-03 14:45
업데이트 2015-12-03 14: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원로스님들 “50세 넘어도 출가 가능” 결의

 불교 조계종단에 ‘출가 연령 제한’을 폐지하자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연령에 상관없이 누구나 스님이 될 수 있는 길을 열자는 시도로 눈길을 끈다. 그동안 출가 연령 상·하향 조정이 여러 차례 있었지만 아예 출가 연령 제한을 없애자는 움직임은 처음이다. 그것도 원로 스님들이 전격적으로 나서 결의한 터라 귀추가 주목된다.

 조계종 원로회의는 최근 간담회 형식의 소위원회를 열고 “출가자가 급격히 줄고 있는 상황에서 출가 연령을 제한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며 “현행 행자교육원 수학자격을 50세 이하로 제한한 교육법을 개정해야 한다”고 뜻을 모았다. 이에 따라 원로 스님들은 “현행 규정을 폐지할 것”을 중앙종회에 건의하기로 결의했다. 회의에는 원로의장 밀운 스님을 비롯해 혜승, 명선, 원명, 월서, 월탄, 암도, 종하, 성우, 대원 스님이 참가했다.

전남 순천 선암사에서 열린 수계식에서 교육을 마친 행자들이 사미계를 받기 위해 연비의식을 치르고 있다. 최근 조계종 원로 스님들이 출가 연령 제한을 폐지하자며 법 개정을 건의해 주목된다. 서울신문 DB
전남 순천 선암사에서 열린 수계식에서 교육을 마친 행자들이 사미계를 받기 위해 연비의식을 치르고 있다. 최근 조계종 원로 스님들이 출가 연령 제한을 폐지하자며 법 개정을 건의해 주목된다. 서울신문 DB
 회의 참석 스님과 관계자들에 따르면 원로 스님들은 무엇보다 출가자의 급속한 감소를 들어 연령 제한 폐지를 주장했다. “행자교육원에 들어갈 수 있는 연령을 50세로 제한하면서 늦깎이 행자들의 발심 출가를 막고 있다. 이로 인해 지방의 작은 사찰들은 불전을 돌보고 의식을 담당할 스님조차 구하기 힘든 상황이다.”(명선 스님) “출가에 나이 상한을 정함은 율장에 맞지 않는다.”(혜승 스님)?.

현재 조계종 종법과 교육법은 행자교육원 수학 자격을 만 13세 이상 50세 이하로 규정하고 있다. 출가한 이라면 반드시 행자교육원을 거쳐야 하는 만큼 50세가 넘으면 스님이 될 수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회의에서는 나이 제한이 출가자 감소를 부추기며 타 종단으로 출가자들이 몰리게 된다는 우려가 적지 않았다고 한다. 반론도 적지 않았다. 고령 출가자들은 교육·수행에 전념하기 어렵고 중도 탈락할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국제통화기금(IMF) 위기 이후 40세 이상 출가자가 20% 이상 늘면서 현실 회피나 노후 복지성 출가가 눈에 띄게 증가하자 조계종은 2002년 9월 출가 가능한 나이 상한을 종전 50세 이하에서 40세 이하로 조정했었다. 이후 출가자 급감과, 사회 유력인사며 전문직 고급 자원들의 출가 봉쇄에 대한 지적이 높아지자 2005년 다시 50세로 환원했다.

아무튼 원로회의가 연령 제한 폐지를 결의해 종단 최고 의결기구인 중앙종회에 교육법 개정을 건의키로 뜻을 모은 만큼 중앙종회의 처리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원로회의가 중앙종회에 건의하면 내년 3월쯤 임시 종회에서 상임위를 열어 가닥을 잡을 것으로 보인다. 이와 맞물려 종단 안에서는 그동안 여러 차례 겪어 왔던 고령 출가자의 역할 미흡과 중도 탈락 폐단이며 대우 등을 먼저 정리해야 한다는 주장이 적지 않다. 조계종 교육원 관계자는 “신자 이탈을 비롯한 ‘종교 썰물’은 비단 불교계의 출가자 감소뿐 아니라 모든 종교에서 공통적으로 보이는 현상으로 여러 원인이 작용하는 만큼 출가 연령 제한 쪽에만 무게를 싣기엔 무리가 있다”면서 “중앙종회가 원로 스님들의 제안을 받아들이긴 하겠지만 적지 않은 논란이 예상된다”고 귀띔했다.

김성호 선임기자 겸 논설위원 kimus@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