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음저협 작년 저작권료 4000억원 돌파...노래방 등 사용료도 코로나19 이전 복원

한음저협 작년 저작권료 4000억원 돌파...노래방 등 사용료도 코로나19 이전 복원

안동환 기자
안동환 기자
입력 2024-01-09 13:43
업데이트 2024-01-09 13: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한국음악저작권협회
한국음악저작권협회
작년 한 해 음악 저작권료로 4000억원 이상이 징수된 것으로 나타났다. 매장과 노래방 등의 공연사용료 징수액도 코로나19 이전으로 회복됐다.

한국음악저작권협회는 8일 지난해 음악 저작권료로 4061억원을 징수하고, 3887억원을 분배했다고 밝혔다. 2022년 대비 징수액이 14% 증가한 수치다.

CD 등 음반 제작 시 발생하는 복제 분야 징수액이 전년 대비 46% 늘어난 1198억원을 기록해 가장 두드러진 성장세를 보였다. 한음저협은 K팝 시장의 성장과 신규 아티스트 등장, 포토카드 등 복합 결합상품 출시 등을 증가 요인으로 꼽았다.

음원 스트리밍 등 디지털 매체가 포함된 전송 분야에서는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성장으로 전년 대비 144억원 늘어난 1721억원을 징수했다. 극심한 징수 감소를 야기했던 코로나19의 영향을 벗어난 콘서트와 노래방, 매장 음악 등의 공연 사용료 징수액은 506억원으로 성장세를 회복했다. 해외에서 사용되는 우리 음악에 대한 저작권료인 해외사용료 분야도 지속적인 K팝 소비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53억 원이 늘어난 273억원이 징수됐다.

추가열 회장은 “대한민국 음악 수준에 걸맞은 저작권 제도를 확충해 향후 1조원 이상의 저작권 시장을 개척할 것”이라고 말했다.

안동환 전문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