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방 이후 첫 3·1절 창작곡 발견…현행 노래보다 3년 앞서

해방 이후 첫 3·1절 창작곡 발견…현행 노래보다 3년 앞서

이정수 기자
이정수 기자
입력 2018-12-06 13:31
업데이트 2018-12-06 14: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시간여행 제공
시간여행 제공
해방 이후 첫 3·1절에 여학생들이 덕수궁에 모여 부른 노래의 악보가 나왔다.

근현대 역사자료를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시간여행은 6일 역사소설가로 유명한 월탄 박종화가 가사를 짓고 여성 작곡가 김순애가 곡을 만든 ‘3·1 운동의 노래’ 악보를 공개했다.

정인보 작사·박태현 작곡의 현행 3·1절 노래는 1949년 총무처 공모에 선정된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보다 3년 앞선 1946년 만든 사실상 최초의 3·1절 창작곡으로 추정된다.

자유신문사가 발행한 이 악보는 가로 23㎝·세로 31㎝ 크기며 8장으로 구성됐다. 표지에는 운보 김기창이 그린 것으로 보이는 삽화가 있다. 상단부 왼쪽에 ‘경기고녀 귀중’(京畿高女 貴中)이라는 한자가 남았다. 경기고녀는 경기고등여학교의 줄임말로 경기여고의 옛 명칭이다.
시간여행 제공
시간여행 제공
악보 7면에는 ‘1946. 2. 11’이란 숫자가 있으며 뒤표지에는 임시 정가가 5엔으로 표기됐다. ‘3·1 운동의 노래’는 소프라노, 메조소프라노, 알토로 구성된 여성 삼부합창곡이다. 모두 3절로 이뤄졌고 후렴은 ‘무궁화 핀 삼천만리 화려한 강산/ 민족은 영원히 멸치 않는다’이다.

자유신문은 악보에 찍힌 날짜인 1946년 2월 11일 신문에서 ‘여학교 연합 음악회 기념가 발표’라는 제목 아래에 악보를 싣고 박종화와 김순애에 관한 기사를 수록했다. 2월 21일 신문에는 미군정으로부터 공식적으로 인정받았음을 강조했다.

여학생들이 ‘3·1 운동의 노래’를 부르는 모습은 같은 해 3월 2일 신문에서 확인된다. 신문은 김기창이 합창 장면을 묘사한 그림과 스케치 기사를 실었다. 이화여대를 비롯해 이화여고, 진명여고, 덕성여고, 숙명여고, 배화여고, 동명여고 등 여러 여학교가 참가했다.

이 자료는 오는 9일 KBS 1TV ‘TV쇼 진품명품’에서 소개된다.

이정수 기자 tintin@seoul.co.kr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