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어처럼, 메이플 시럽처럼 달콤한

프랑스어처럼, 메이플 시럽처럼 달콤한

입력 2020-03-10 17:40
업데이트 2020-03-11 02: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그림으로 만나는 문화재 이야기] 캐나다 퀘벡 시티

이미지 확대
캐나다 원주민 말로 퀘벡은 ‘강이 좁아지는 곳’을 뜻한다. 북아메리카 동부를 가로지르는 세인트로렌스강의 폭이 갑자기 좁아지는 곳에 바로 퀘벡 시티(이하 퀘벡)가 있다.

캐나다 퀘벡주의 주도이면서 구도심 전체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역사 도시. 퀘벡이 우리에게 더욱 가까워진 것은 TV드라마 ‘도깨비’ 촬영지로 알려지면서부터다. 인구 90%가 프랑스 출신이고 어디서나 프랑스어를 사용하며 18~19세기 프랑스풍 건물이 많아 흔히 ‘작은 프랑스’라 불린다.

17세기 초부터 세인트로렌스강 일대에선 프랑스인들이 원주민들과 모피 교역을 하며 살았다. 1754년부터 10년간 북아메리카 대륙에서 이어진 영프 전쟁에서 승리한 영국은 퀘벡을 지배하기 시작했다. 프랑스어를 유지하는 조건이었으나 두 문화 간 마찰은 피할 수 없었다. 게다가 미국 독립전쟁이 일어나면서 미국이 퀘벡을 영국으로부터 독립시키기 위해 퀘벡 전투를 벌이기도 했다. 영국은 방어의 목적으로 세인트로렌스 강가 절벽 위에 4.6㎞에 이르는 성벽을 쌓았다. 성벽은 군사 목적으로 지어졌지만, 지금은 어퍼 타운(Upper Town)과 로어 타운(Lower Town)을 구분하는 기준이면서 대표적인 관광명소로 자리잡았다. 퀘벡이 북아메리카에서 유일하게 성곽이 존재하는 도시가 된 배경이다.

성벽 위 마을 어퍼 타운엔 잘 깎은 연필처럼 뾰족한 지붕을 가진 웅장한 건물이 있다. 퀘벡 홍보 사진에 늘 등장하는 페어몬트 샤토 프롱트낙 호텔이다. 1000살 가까이 된 도깨비의 소유로 나오는 이 호텔은 사실 130년밖에(?) 되지 않았지만 프랑스 문화를 상징하는 퀘벡 랜드마크로 퀘베쿠아(퀘벡 현지인을 이르는 프랑스어)의 사랑을 한몸에 받는다.

호텔 뒤편 산책길은 지대가 높고 강변을 따라 이어져 있어 좌우 어느 쪽으로 가든 퀘벡의 전망이 거대한 수채화처럼 펼쳐진다. 긴 겨울의 끝 3월, 온통 흰색이던 퀘벡에 조금씩 원색이 퍼져 생기가 돌고 있었다. 움츠렸던 몸을 일으켜 햇살을 만끽하러 나온 사람들 사이로 거리 음악가들이 밝은 분위기를 더했다.

어퍼 타운에서 가파른 경사를 내려오면 성벽의 아랫마을, 말 그대로 로어 타운이 나온다. 구불구불한 골목엔 파스텔톤의 건물이 이어지며 상점과 레스토랑, 카페가 옹기종기 들어차 있다. 쌀쌀한 날씨엔 역시 고열량 음식이 제격이다. 퀘벡의 떡볶이 격인 푸틴은 튀긴 감자에 부드러운 그레이비 소스와 뽀도독거리는 치즈를 얹어서 먹는다. 절로 힘이 솟는다.

단것도 빼놓을 수 없다. 전 세계 메이플 시럽 생산량의 70%를 담당하는 퀘벡이니만큼 가게마다 메이플 시럽이 넘쳐난다. 특히 3월부터 4월 사이 퀘벡은 더욱 달콤해진다. 초봄이 되면 단풍나무의 녹말 성분이 당도가 높은 수액으로 변하면서 메이플 수액을 추출하기에 가장 좋은 시기를 맞는다. 갓 구워 낸 와플에 황금빛 시럽을 가득 쏟아부어 먹었다. 마음을 치료받는 것은 순식간이었다.
2020-03-11 3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