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화진·박영남·오원배·김태호·윤동천…다른데, 닮은 다섯 작가 이야기

장화진·박영남·오원배·김태호·윤동천…다른데, 닮은 다섯 작가 이야기

입력 2013-06-26 00:00
업데이트 2013-06-2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3막 5장- 해피투게더展

“어느 화가의 개인전 뒤풀이 자리에서 누군가 제안했고, 그 자리에서 즉흥적으로 계획됐습니다.”(송미숙 성신여대 명예교수)
이미지 확대


서울 종로구 통의동 갤러리 시몬에서는 다음 달 26일까지 이색 전시회가 열린다. 도무지 어울릴 것 같지 않은 작가들의 작품이 1~3층의 갤러리에 나뉘어 묘한 조화를 이룬다. ‘3막 5장-해피 투게더’전이다.

부제 ‘해피 투게더’는 홍콩 왕자웨이 감독의 동명 영화에서 따왔다. 전시를 기획한 송 교수는 “‘한 사람이 그 자신과 과거, 마음의 평화를 찾을 때 행복한 관계가 시작된다’는 왕 감독의 얘기가 마음에 들어 택했다”고 설명했다.

전시에는 중견 작가인 장화진, 박영남, 오원배, 김태호, 윤동천이 참여했다. 다섯 작가의 이야기를 3개 층에 나누어 옴니버스 형식으로 묶었다. 전시 작품들은 전체적으로 편안해 보이지만 예리하게 날 선 면모를 드러내기도 한다. 1층에서 3층으로 이동하면서 작가들의 개인적인 에피소드가 연극의 한 장면처럼 변화무쌍하게 이어지는데 이 흐름을 감상하는 묘미가 대단하다.

1막(1층)에서는 섬세한 촉각으로 기하학적인 흑백 화면을 선보이는 박영남 작가와 거울처럼 매끈한 미니멀리즘적 평면을 추구하는 김태호 작가의 대비가 진미다. 개미의 발자국을 따르는 손가락처럼 시선을 끌다가도 태양의 현란한 스펙트럼 같은 빛의 움직임이 나타나기도 한다. 발밑도 작품이다. 귀퉁이에는 덕수궁 정관헌에 깔린 타일 문양을 옮겨 그린 장화진 작가의 작품이 놓여 있다. 2막(2층)은 한국 근대사의 파편을 관조한 회화들이 채우고 있다. 윤동천 작가의 평면 작업을 감상할 수 있다. 3층(3막)에서는 내밀한 일상의 독백이 묘사된다. 오원배 작가의 드로잉이 벽면을 장식한다. 송 교수는 “작품 형식과 경향은 달라도 기질이 비슷해 평상시에도 잘 어울리는 작가들”이라고 설명했다. (02)549-3031.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2013-06-26 2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