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션·코믹·멜로 다 욕심내다… 스토리 집중력 잃어 메시지 모호
‘삼총사’와 ‘보니 앤 클라이드’ ‘프랑켄슈타인’ ‘조로’ 등 왕용범 연출과 이성준 음악감독 콤비의 뮤지컬은 스타일이 뚜렷하다. 관객들이 대극장 뮤지컬에 기대하는 요소를 정확히 간파하고 이를 두시간 반 안에 눌러 담는 것이다. 지난 23일 국내 초연된 ‘로빈훗’도 연장선상에 있다. 숲 속 로빈훗과 의적들의 활극에 기대될 법한 통쾌한 액션과 코믹, 멜로, 비장미 등을 한데 섞어내는 내공이 보인다. 그러나 모든 것을 다 담으려다 집중력을 잃기 쉽다는 한계 또한 내포한다.

그러나 탄탄했던 템포는 2막에 들어서 느슨해진다. 길버트와 존 왕, 마리안 등의 내적 갈등을 부각시키면서 의적들의 활약이라는 주요 흐름에서 엇나간다. 창작진의 주 무기 중 하나인 고음에 의존하는 넘버들도 이에 한몫한다.
관객의 카타르시스는 내지르는 고음이 아닌 강렬한 스토리의 한 방에서 오는 법이나 스토리가 처진 상태에서 ‘고음 강박증’이라도 있는 듯한 넘버들은 피로감을 보탤 뿐이다. 숲 속 의적들의 활약으로 막판 반전을 노리지만 이들이 외쳤던 정의의 메시지도 집중력을 잃은 스토리 탓에 모호하게 들린다.
참신한 대목은 무대장치다. 장치라고 해 봐야 거대한 나무 모양의 세트가 무대 양옆과 천장을 감싸고 걷히는 반복이 전부다. 그러나 이 같은 간결함이 오히려 숲 속 의적들이라는 극의 주제를 또렷하게 상징한다. 3월 29일까지 서울 구로구 디큐브아트센터. 6만~13만원. (02)764-7857.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2015-02-03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