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부터 ‘조용익, 지움의 비움’ 회고전
오방색 기하학 형태 바탕 생의 원형성 추구단색 비움의 정신성·행위 반복… 촉각성 살려
중성색 기교 사라지고 색 제한 ‘無心’의 시기
“단색화가 재평가받는 것은 기분 좋은 일”
성곡미술관 초대전을 갖고 재기의 시동을 거는 단색화 1세대 작가 조용익 화백의 시기별 대표작. 점화에서 물결무늬의 반복 시기, 무심으로 이어진다.
성공미술관 제공
성공미술관 제공
1934년 함경남도 북청 출신인 조 화백은 13세에 월남해 서울대 미술대 회화과를 다녔다. 1958년 대학동기인 조규직(재미), 김현기(작고)와 ‘르퐁 3인전’을 연 것을 시작으로 1961년 제2회 파리 비엔날레, 1962년 악튀엘전 등 한국 추상회화의 시작을 알리는 주요 전시에 참여했다. 1967년과 1969년 파리 비엔날레의 한국 전권대표로 참여하는가 하면 한국미협 부회장을 역임하는 등 2000년대 초반까지 한국 화단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지만 아들의 사업 실패, 병환 등 개인적 불운이 겹쳐 미술계를 떠나 있었다.
그 사이 작업실과 살림집을 청산해야 했고, 강원도 사북의 폐교와 충북 음성의 반지하 등을 전전하며 어렵게 삶을 이어 가야 했던 그가 아무리 힘들어도 절대 버릴 수 없는 것은 분신 같은 작품들이었다. 한국 현대화의 거대한 흐름에 합류하지 못했던 작가는 2년 전부터 재기의 시동을 걸었다. 이번 전시에는 그동안 이고, 지고, 싸들고 다녔던 작품들 중 시대별 대표작들을 선별해 소개한다.
조용익 화백
전시장은 찾은 노 화가는 “그리는 것 자체를 좋아한다. 대나무의 잎이 좋고 필획이 좋아서 그림을 그릴 뿐 아무 생각을 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여력을 다해 재기의 시동을 걸고 있는 그는 “단색화가 재평가받는 것은 기분 좋은 일”이라면서도 자신의 작품이 단색화로 불리는 것에 대해선 “특정 유파로 분류하는 것을 생각해 본 적이 없다. 그것은 평단이나 제삼자가 분류하는 것”이라고 답했다.
자리를 함께한 미술평론가 윤진섭은 “1974년 단색화로 전환한 이후 빠른 시간에 자신을 숙성시켜 스타일을 확립했던 작가”라면서 “숨겨진 단색화 거장을 발굴해 재조명한다는 데 이번 초대전의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조 화백의 프로모션을 맡고 있는 J&S 인터내셔널아트의 임지현 대표는 “세계 시장에서 단색화의 인기가 지속되면서 새로운 작가의 등장을 환영하는 분위기다. 홍콩의 에드워드머레이갤러리와 홍콩아트바젤에 출품하고 대만 쪽 미술관 전시도 기획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시는 4월 24일까지.
글 사진 함혜리 선임기자 lotus@seoul.co.kr
2016-02-22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