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산부인과학회지 ‘최다인용논문상’에 윤보현 서울대병원 교수

美산부인과학회지 ‘최다인용논문상’에 윤보현 서울대병원 교수

정현용 기자
정현용 기자
입력 2019-07-31 13:58
업데이트 2019-07-31 13: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대병원 산부인인과 윤보현 교수(왼쪽)가 미국산부인과학회지 관계자로부터 ‘최다 피인용논문 공로상’을 받고 있다. 윤보현 교수 제공
서울대병원 산부인인과 윤보현 교수(왼쪽)가 미국산부인과학회지 관계자로부터 ‘최다 피인용논문 공로상’을 받고 있다. 윤보현 교수 제공
서울대병원 산부인과 윤보현(64) 교수가 150년 역사의 권위지인 ‘미국산부인과학회지’(AJOG)가 선정한 ‘최다 피인용논문 공로상’을 수상했다.

한국인 산부인과 의사가 논문의 영향력을 가늠하는 ‘피인용 횟수’ 기준으로 이 상을 받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31일 미국산부인과학회지에 따르면 윤 교수는 1920~2018년 사이 학회지에 게재된 4만여편의 연구논문 중 인용이 많았던 100편을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논문을 발표한 최종 3인으로 선정됐다. 윤 교수를 제외한 나머지 2명은 미국 내 대학의 산부인과 교수였다.

학회지는 학회 설립 150주년을 기념해 이런 내용의 분석 결과를 올해 초 논문으로 공개하고 최근 시상식을 개최했다. 학회지가 선정한 100편의 논문 중 윤 교수가 제1저자 또는 교신저자로 이름을 올린 논문은 총 6편이었다.

이 중에서도 임신 중 양수 내 감염이나 염증이 있었던 경우 아이의 뇌 손상 위험이 높다는 내용의 논문(1997년)이 피인용 횟수 580회로 가장 많았다. 또 조산아 뇌성마비의 주요 원인이 저산소증이 아니라 자궁 내 감염이라는 사실을 밝힌 연구논문(200년)도 피인용 횟수가 514회에 이르렀다.

윤 교수는 “산부인과 분야에서 공로가 큰 세계적인 대가들을 제치고 변방인 한국의 의사가 이 상을 받은 게 놀랍다”고 소감을 피력했다.

그는 이어 “그동안 뇌성마비 조산아 출산을 막아야겠다는 일념으로 기초연구에 묵묵히 열정을 쏟아부은 게 이제서야 성과로 인정받은 것 같아 기쁘다”며 “한국의 능력 있는 젊은 의학도들이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기초와 임상 연구에 열정을 쏟아부을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