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대감독 되려면 순발력과 체력… 악보위원은 영어 잘하면 금상첨화

무대감독 되려면 순발력과 체력… 악보위원은 영어 잘하면 금상첨화

입력 2013-06-21 00:00
업데이트 2013-06-2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무대감독(악기전문위원) 공연 프로그램이 나오면 김양수 감독은 악기 배치도를 만드는 것으로 일을 시작한다. 곡마다 악기 편성이 다르고 극장마다 규모나 소리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지휘자, 연주자, 공연기획팀 등과의 커뮤니케이션은 필수다. 종이를 찢거나 와인병을 두드리며 타악기처럼 쓰는 등 특이한 악기를 총동원하는 현대음악 연주회 때는 2~3분 안에 무대를 전환해야 하는 만큼 순발력이 생명이다. 그가 공연 때마다 ‘매의 눈’으로 무대를 굽어보며 비상대기하는 이유다. 김 감독은 “악기를 들고나고 많이 돌아다녀야 하는 만큼 체력도 필수”라고 했다.

악보계(악보전문위원) 김보람 위원은 “국제악보계협회(MOLA)는 한 가지 이상의 악기를 다룰 줄 알고, 모든 악보를 볼 수 있어야 한다는 조건을 내세우고 있다”고 했다. 한 예로, 말러나 브루크너 등 편곡자가 많은 곡은 지휘자, 연주자마다 선호하는 악보가 다르기 때문에 이들의 요구 사항에 맞춘 버전으로 찾아줘야 한다. 때문에 좋은 악보를 판단하는 눈을 갖추는 게 중요하다. 악보의 오류도 잡아낼 수 있어야 한다. 김 위원은 “지휘자, 연주자와의 교감이 중요한 만큼 최근에는 외국인 연주자와의 협연이나 단원 비중도 늘어나는 추세여서 영어도 잘하면 금상첨화”라고 했다.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3-06-21 22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