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주영 대하소설 ‘객주’ 완결편 <67>

김주영 대하소설 ‘객주’ 완결편 <67>

입력 2013-07-02 00:00
업데이트 2013-07-02 00: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글 김주영 그림 최석운

마침 곽개천이 잡은 산적들을 이끌고 당도하여 수직과 기찰을 반복하던 동무들은 한시름 놓았으나, 곽개천에게는 숨 돌릴 말미도 없게 되었다. 오뉴월 억수장마에도 빨래 말미는 있다 하였으나 지름길을 많이 알고 있는 곽개천에게는 그조차 허락되지 않았다. 천봉삼을 사칭한 자는 자기가 원상을 사칭한 것이 들통나 인질로 잡히는 신세가 되어버렸다는 것을 진작부터 눈치채고 있었다. 그런데도 죽이든지 살리든지 양단간에 아퀴를 짓지 않고 밥 먹이고 잠재우는 데 소홀함이 없음에 더욱 불안하여 전전긍긍이었다. 그래서 아무것도 덮지 않은 채 등걸잠으로 헛코를 골며 달게 자는 척하지만, 실은 뜬눈으로 밤을 지새우는 형편이었다. 또다시 줄행랑을 놓아볼 생각도 굴뚝같았으나, 요즘은 만기뿐만 아닌 동배간 두 사람이 번갈아 가며 수직을 서는 바람에 굽도 젖도 할 수가 없었다. 심지어 뒷간 가는 길까지 놓치지 않고 뒤쫓아 다녔기 때문이다.



곽개천은 한나무재에서 칼을 맞았으나 갈약으로 쓰기도 하는 질경이를 씹어 붙여 지혈을 시키고 통행전을 찢어 수습한 덕분에 행보에는 구애를 겪지 않았다. 도방에 당도한 그는 궐자를 잡아 꿇리고 물었다.

“이제 네가 우릴 향도해서 찾아갈 곳이 있다. 어디로 가려는지 알고 있겠지?”

“….”

“네놈이 달포가 넘도록 아침저녁으로 더운밥에 절절 끓는 아랫목에서 구완을 받고 이제 쾌차하였다면 보은할 때가 되었지 않았나. 네가 무뢰배들이나 적굴 놈들에게 걸려들었다면, 너는 진작 그 산기슭에서 한 발짝도 떼지 못하고 지금쯤 네 살점은 개호주나 갈가마귀가 뜯어먹고 허연 해골로 떼굴떼굴 굴러다니고 있었을 터, 우리의 대접이 소홀하지 않았는데도 틈만 있으면 도타해서 둔적할 궁리만 하였더냐? 네가 세도하는 양반 처지도 아닌 터에 달포가 넘도록 아무 하는 일도 없이 매팔자로 지냈으면 족하지 무엇이 부족해 주둥이를 열지 않고 있느냐?”

“….”

“이놈아, 며칠 전까지도 되반들거리는 낯짝을 쳐들고 말대꾸가 얼음에 박 밀듯 거침이 없더니, 지금은 어째서 꿀 먹은 벙어리냐? 사람이란 궁달에 때가 있는 법, 네가 자칫 삐끗하여 이 기회를 놓치면 두 번 다시 살아남지 못할 것이야. 새우는 대대로 곱사등이라더니 아직도 적굴 생활에 미련 두고 있나? 지금 잡혀 와서 포박되어 있는 네놈의 동배간들을 빤히 보았으면서도 정신을 못 차리겠느냐?”

“성님…이놈이 볼깃살이 근질근질한 모양입니다. 내친김에 난장박살을 시켜버립시다.”

진작 직토하지 않은 위인에게 홧증이 난 동무 하나가 추살(推殺)을 시키자고 아드득 이빨을 사려물자 얼굴이 원숭이 볼기짝이 되어 안절부절못하던 위인은 그제야 가까스로 입을 열었다.

“나으리, 쇤네가 무슨 염치가 있어 은휘할 것이 있겠습니까. 쇤네를 구급하여 목숨을 보전할 수 있도록 해주신 분들에게 은혜 갚을 일만 남았습니다.”

“너희들의 산채가 여기서 멀지 않다는 것은 알고 있다. 그러나 오늘내일 중으로 산채를 찾아내서 비당을 모조리 섬멸하지 못하면, 저들의 앙갚음으로 우리 도방을 쑥밭으로 만들어버릴 터. 네가 우리에게 진 빚을 탕감하자면 우리 앞장에 서서 산채까지 인도해야 한다.”

“여부가 있겠습니까. 섶 지고 불로 뛰어들라 해도 마다하지 않겠습니다.”

숨 돌릴 틈도 없이 궐자가 지목해준 대로 십이령길로 들어섰다. 그 길은 곽개천이 속으로 겨냥하고 있었던 길목과 일치했다.

“성님 이 길목을 성님이 짐작하고 있었던 바로 그 길목이 아닙니까.”

“우리가 잡은 산적들에게 구초(口招)를 받아보니까, 역시 이 길목을 가리켰다네. 내 짐작과 궐자들의 구초가 일치하는 것이야.”

“저놈도 거짓말로 둘러대진 않네요.”

하지만 곽개천이 행수로 있는 상대는 이렇다 할 병장기를 갖추지 못했다. 끽해야 요도와 환도 따위들이 전부였다. 그런 병장기를 가지고 산채의 중심을 친다는 것은 객기였다. 그런데도 위인을 앞세우고 그 이튿날 서둘러 십이령길로 들어선 것이었다. 한나무재 계곡에 당도해서야 그들의 무모함이 기우에 불과했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곽개천이 여섯 적당을 잡은 그 계곡에 당도해서 한나절을 보내고 난 뒤, 해가 질 무렵에 내성으로 떠났던 정한조 일행이 당도했기 때문이다.

정한조 일행이 당도함으로써 일행의 수효는 스물 대여섯으로 불어났고 화승총도 다섯 자루로 불어났다. 산채를 발견해서 원진을 치고 포위망을 조이다가 기습을 감행한다면, 삽시간에 소굴을 쑥밭으로 만들 수 있었다. 산채에 남아 있는 적당들이 많아야 열두서넛을 넘지 못할 것으로 예상하기 때문이었다. 적당들의 세력을 서너 곳으로 분산시켜 도륙을 낸 결과였다. 정한조의 계략에 걸려든 것이었다.

2013-07-02 2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