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와 함께 한다는 것… 시인들이 답하다

개와 함께 한다는 것… 시인들이 답하다

이슬기 기자
입력 2019-07-06 09:00
업데이트 2019-07-06 09: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반려견 인구 천만을 넘어선 시대. 개와 함께 한다는 것은 무엇일까. 시인들이 시와 산문으로 이에 답했다. ‘나 개 있음에 감사하오’(아침달)이다.

책에는 김상혁·박준·송승언·심보선·안미옥·박세미·유계영·임솔아 등 반려견과 함께 사는 스무 명의 시인이 쓴 40편의 시와 20편의 짧은 산문이 담겼다. 시인이 반려견과 같이 찍은 가슴 뭉클한 사진도 있다.

나의 개를 처음 만나던 순간을 시인은 이렇게 기억한다. ‘너를 만나 내가 바닥이라 믿고 있던/것이 무너졌어 그렇기에/비로소 나는 날아올랐지/빛이 드는 쪽으로 한 걸음 더/’(강지혜 ‘여섯 개의 작은 발로’ 부분) 지극히 사적이지만, 역사적이었던 첫 만남 이후의 나는 그 전의 나와는 다른 존재다. ‘혼자서는 몰랐을 길을 걸을 때나/혼자서는 맞지 않았을 비에 흠뻑 젖을 때에도/메리와 함께 기쁘다 언닌’(남지은 ‘기척’ 부분)

그러나 인간의 삶은 길고 개의 삶은 짧아서, 거의 매번 떠나는 뒷 모습을 보는 건 인간이다. 먼저 간 개에게 시인은 말한다. ‘다음생이 있다면/죽지 않는 나라에서/계속 살아야 할 운명이라면//이다음에는/너의 개가 될게’(민구 ‘이어달리기’ 부분)

구구절절 아린 마음을 주체하기 힘든데 또 그만큼 뭉클하고 감동적이다. 아침달에서는 ‘나 냥 있음에 감사하오’도 만들어줬으면 좋겠다. 냥집사들을 위해서.

이슬기 기자 seulgi@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