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윈 지능】 최재천 교수 지음 사이언스북스 펴냄
지난 밀레니엄의 말미에 미국에서 학자와 예술가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한 설문조사 결과가 센세이션을 불러왔다. 지난 1000년간 인류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친 인물 1000명 중 ‘종의 기원’(1859년)을 쓴 찰스 다윈이 아인슈타인과 케플러를 제치고 7위에 선정된 것이다. 실제로 많은 지식인들은 다윈과 그의 진화론을 향해 찬사를 아끼지 않는다. ‘지금까지 없었던 가장 뛰어난 아이디어’, ‘우리가 아는 모든 것을 하나로 묶어 주는 단 하나의 과학적 아이디어’, ‘이 신비로운 세상을 이해하는 가장 포괄적인 원리’….불후의 고전 ‘종의 기원’이 품고 있는 핵심은 ‘자연선택’과 ‘최적자 생존’이다. 모든 생물종이 현재의 모습대로 누군가에 의해 설계되고 창조됐다는 인식이 지배하던 시절 발표된 ‘종의 기원’은 신과 인간의 지위를 여지없이 무너뜨렸다. 당연히 다윈은 그의 저서로 인해 숱한 공격과 수난을 받아야 했고 편의에 따라 이용당하는 모욕을 겪기도 했다. 히틀러의 게르만 우월주의를 비롯해 강대국들의 식민지배 정당화 구실이 된 것이나 적자생존을 ‘계급투쟁’으로 정리한 마르크스가 자본주의에 대항하는 도구로 활용한 게 대표적인 예다. 그런가 하면 많은 지식인과 사상가들은 다윈의 생물학적 이론을 사회 변화에 적용하는 연구에 천착해 서방세계에서는 다윈과 ‘종의 기원’이 더이상 과학의 변죽에 머물지 않는다. 그에 비해 이 땅에서의 다윈 연구는 거의 불모지대나 다름없다.
한국의 독보적인 다윈 연구자이자 통섭의 대가인 최재천 이화여대 에코과학부 석좌교수가 낸 ‘다윈 지능’(사이언스북스 펴냄)은 다윈을 꼼꼼히 살필 수 있는 흔치 않은 책이다. 다윈의 진화론이 어떻게 DNA의 구조로부터 인류의 사회생활과 문명에 이르기까지 세대를 거치며 생명체의 형태와 행동이 변화되는 모든 과정을 설명하는 근본 법칙으로 작동할 수 있었는지를 자세히 설명한다. “살아남은 종은 가장 강한 종도, 가장 지능이 높은 종도 아니다. 변화에 가장 빠르게 적응한 종일 뿐이다.” 다윈이 밝힌 대로 ‘종의 기원’ 속 진화는 진보보다는 정해진 목적 없이 진행되는 변화에 가깝다는 사실에 최 교수는 천착한다. 적자생존은 주어진 환경에 따라 우연히 결정되는 것이고 비교우열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원칙에의 집중이다. 150년 전 태동한 진화론의 뿌리가 현대인의 삶 구석구석까지 줄기를 뻗어 나갈 수 있었던 것도 그런 연유라는 주장이다. 결국 저자는 “진화는 지난 수천년 동안 우리 눈앞에서 적나라하게 벌어지고 있었고, 자연선택은 항상 우리 주변에서 작동하고 있다.”며 “‘다윈 지능’을 통섭의 시대, 공감의 시대를 대비할 필수 교양으로 주목하자.”고 제의한다. 1만 5000원.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12-01-07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