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들이 본 임진왜란】김시덕 지음 학고재 펴냄
올해 임진년(壬辰年)을 흑룡의 해라 부를 때는 왠지 희망에 들뜨게 되지만, 올해가 임진왜란 420년째가 되는 해라고 일러주면, 와락 불길한 조짐에 불안해질지도 모르겠다.1592년 임진왜란은 왜 일어났을까. 한국인들은 대체로 전국을 통일한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무사들의 불만을 해외로 돌리기 위해, 또한 도요토미가 감히 명을 치겠다고 과대망상을 해 일어났다고 알고 있다.
김시덕 고려대 일본연구센터 HK연구교수는 ‘그들이 본 임진왜란’(학고재 펴냄)에서 임진왜란 이후 200여년 동안 에도시대 일본인들이 많이 읽었던 대중소설인 군담, 역사소설과 전기물 등을 통해 ‘일본인들이 믿고 상상하고 싶어했던 전쟁’의 실체를 보여준다. 한국인들의 믿음과 큰 차이가 있다.
저자는 우선 임진왜란을 한국인이 흔히 생각하듯 ‘도요토미를 비롯한 왜구라는 도둑 집단이 일으킨 한때의 난리’로 정의하면 안 된다고 말한다. 조선과 일본, 명나라가 나라의 명운을 걸고 대규모로 충돌한 ‘7년간의 국제전쟁’이었다는 것. 대규모 충돌이었던 만큼 이 전쟁은 동북아시아 국제 질서를 재편했다. 명나라는 조선에 대한 무리한 군사 지원으로 국력이 쇠약해져 50년 뒤인 1664년 멸망했고, 조선의 지배세력은 급격히 보수화됐다. 일본은 도요토미 정권이 무너지고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새 정권이 수립됐다.
‘똥 싼 놈이 성 낸다’는 속담처럼 침략전쟁을 벌인 일본은 놀랍게도 에도시대 베스트셀러인 ‘다이코기’, ‘도요토미 히데요시보’, ‘조선정벌기’ 등을 통해 전쟁을 정당화했다. 이를테면 ‘도요토미 히데요시보’에서 도요토미는 “예부터 중화는 우리나라를 여러 번 침략했으나 우리나라가 외국을 징벌한 일은 진구코고(신공황후)가 서쪽 삼한을 정벌한 이래 1000년 동안 없었다.”고 합리화했다. 진구코고가 삼한을 정복했다는 주장은, 8~9세기 경 ‘신라해적’이 일본을 괴롭히자 이들을 물리쳐달라고 신에게 기도한다는 일본 측의 사서에 근거한 것으로, 이 기록 이후로 일본인들은 자신들의 나라를 신이 다스리는 나라, 즉 ‘신국’(神國)으로 부르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즉 신국의 시작은 공격이 아니라 방어본능의 결과였다.
김 교수는 20일 “외세의 침략을 강조하는 한국과 마찬가지로 전근대 일본은 대륙에 대한 뿌리 깊은 피해의식과 저항의식이 있다.”면서 “원과 고려가 연합군을 결성해 1272년과 1281년 두 차례나 침략한 것이 결정타”라고 설명했다.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서, 일본인들은 도요토미가 왜 임진왜란을 일으켰다고 생각할까. 저자는 “한국인들은 명나라를 치려 하니 길을 비켜달라는 당시 도요토미의 주장은 명분에 불과하고 실제로는 조선을 정벌하려고 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일본인은 최종 목적지가 진짜 명나라였다고 믿는다.”고 말했다. 실제로 조선의 수도 한성이 침략 20일 만에 왜군의 손에 떨어졌기 때문에 더욱 확신한다는 것이다.
더 재밌는 것. 일본인들이 임진왜란, 정유재란에 이어 조·일 3차 전쟁이 벌어질 것으로 상상했다는 것이다. 18세기에 인기가 있었던 가부키 연극 중 ‘진주목사 김시민이 일본에 잠입해 3차 전쟁을 벌인다’는 내용이 있다. 물론 3차 전에 대한 기대는 조선인들도 마찬가지였다. 17~18세기에 베스트셀러였던 ‘임진록’은 조선군이 도쿄까지 진격하는 내용의 소설이었다. 역사에 대한 편견과 왜곡은 이 책을 읽다보면 모든 민족이 가진 인간의 본성처럼 보이기도 한다. 1만 5000원.
문소영기자 symun@seoul.co.kr
2012-01-21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