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림/살이 경제학을 위하여】 홍기빈 지음 지식의날개 펴냄
‘경제학’은 한정된 자원을 어떻게 활용해 효용성을 극대화할지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통한다. 주류 경제학은 최소의 비용과 최대의 이윤 창출을 겨냥하는 게 사실이다. 그런데 이른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상시화되고 있는 경제위기에 대해 주류 경제학은 또렷한 대책을 내지 못한 채 수렁에 빠져들고 있는 상황이다. 그 원인과 대안은 어디서 찾아야 할까.많은 학자들은 주류 경제학의 모순과 폐해를 무한경쟁과 그로 인한 왜곡된 삶의 구조로 들기를 주저하지 않는다. 좀처럼 헤어나기 힘든 위기 상황에서 세상을 지배해온 주류 경제학에 대한 비판이 분출하고 있는 것이다. 경제 논리에서 외면당해온 인간 삶의 궁극적 목적과 가치에 눈떠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는 것도 그 흐름 중 하나. 인간 삶과 사회구조를 지배하는 경제의 근저인 상품화와 화폐 지상주의에서 눈길을 돌려보자는 ‘근본으로의 회귀’이다.
‘살림/살이 경제학을 위하여’(지식의날개 펴냄)는 그런 ‘근본으로의 회귀’에 줄곧 목소리를 높여 온 홍기빈 글로벌정치경제연구소장이 낸 책이다. 상품화와 화폐경제에 매몰된 경제활동을 ‘돈벌이 경제’라고 부르는 홍 소장의 지론이 잘 드러나는 경제학 이론서다. 책 제목이 보여 주는 대로 이제 경제학은 아리스토텔레스 이후 경제의 본질과 방향을 제시해 온 선각자들의 외침에 귀 기울여야 한다는 소신이 또렷하다. 일반적으로 통용되기 마련인 ‘돈이면 다 된다.’는 인식의 한계와 그 한계를 극복하자는 새 경제 논리가 비교적 쉬운 이야기들로 풀어진다.
저자는 ‘살림/살이’야말로 원래의 경제를 가장 잘 정의한 말이라고 거듭 강조한다. 한자어 ‘경제’가 세상을 다스려 백성을 고난에서 구제한다는 ‘경세제민’에서 유래했고 영어 ‘이코노미’(economy)가 가정 관리를 뜻하는 그리스어 ‘오이코노미아’(oikonomia)에서 비롯됐다고 할 때 결국 경제는 남을 살리고 나도 살아야 하는 ‘살림/살이’의 개념이라는 것이다. 우리 ‘홍익인간’도 같은 범주에 포함될 수 있다고 말한다. 그래서 원래의 경제 개념을 살리고 지금의 위기를 벗어나기 위한 대안을 ‘인간 존재의 전면적 발전’에서 찾자는 게 저자의 주장이다. “이것이 정말로 내가 원하는 좋은 삶인가? 나는 정말 ‘자산’으로 태어났고 그것으로서의 가치를 불리고 또 불리는 것이 정말로 내가 이 녹색별 지구에서 태어난 이유와 목적인 것일까?”
저자는 그 대안에의 눈뜸을 현실에 대한 케케묵은 비판이나 욕망에 대한 부정으로 보지 말라고 한다. 대신 이렇게 주장한다. “사람을 쾌락과 고통의 계산기이자 선택자로 상정하는 돈벌이 경제의 인간관과 단절하고 진정 개인적·집단적 차원에서 인간다운 삶을 가능케 하도록 산업사회를 재조직하게 만들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각성이다.” 1만원.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12-03-17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