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픔이 아픔을 위로하다

아픔이 아픔을 위로하다

입력 2012-03-24 00:00
업데이트 2012-03-24 00: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와일드 펀치】기준영 지음/창비 펴냄

군더더기 없다는 게 이런 것일 듯 싶다. 미사여구 없이 상황을 섬세하게 풀어내고 무리해서 자극적인 순간을 만들어내지 않고도 이야기를 흥미롭게 끌어간다.

지난해 제5회 창비장편소설상 수상자인 기준영의 첫 장편소설 ‘와일드 펀치’(창비 펴냄)는 그렇게 읽힌다.

1부와 2부로 나뉜 소설에서 네 번 나오는 인트로와 아우트로는 이층집 주인 ‘현자‘의 시점으로 풀었다. 현자는 “내게 중요한 사람은 남편 강수와 아들 완주”라고, “더 값진 것을 갖기엔 역량부족”이라고 못 박았지만, 이내 “내 팔자엔 손님이 끓나 봐.”라고 인정해버린다. 그렇게 불쑥 ‘남편의 손님’ 태경과 ‘내 손님’ 미라가 현자의 이층집에 찾아온 것이다. 부부가 결혼기념일을 기념하기 위해 홍콩으로 떠나고, 빈집이 오롯이 손님들의 것이 된 사이, 손님들은 자연스럽게 연애를 시작했다.

이들이 갖는 유대감은 가족사다. 아내와 딸에게 버림받은 태경은 ‘밀고 당기기 하기에 지친 영혼’이고, 미라는 사랑하는 남자의 폭력에 시달렸다. 강수는 물놀이하다가 동생을 잃은 아픈 기억을 태경과 공유하고 있고, 현자 역시 미라네 여관에서 묵던 어린 시절 어머니의 부재와 사고사의 고통을 품고 있다.

여기에 또 하나의 인물이 끼어든다. 불안한 심리상태를 보이는 어머니와 사는 열여덟살 우영이다. 우영은 1년 전 시점부터 차근차근 현재로 다가오면서 이들 속에 자연스럽게 녹아든다.

‘초대받지 않은 손님들’ 태경과 미라는 ‘시들한 부부’ 강수와 현자에게, 소년 우영은 강수와 태경에게, 또 어른 넷은 외로운 우영에게 위로를 드리우고, 든든한 울타리가 된다.

기준영 작가는 “제목은 중의적 표현이다. 여러 가지 원액이 섞이는 칵테일처럼 감성이 충돌하는 의미도 있고, 거친 한 방이라는 의미도 품는다.”고 설명한다. “담담하게 써내려갔지만, 그 안에 담긴 감정들은 거칠고 강하기 때문에 와일드 펀치를 떠올렸다.”고 덧붙였다.

내용은 물론이거니와 대사 하나하나를 음미하는 재미가 있다.

최여경기자 kid@seoul.co.kr

2012-03-24 23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