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노의 수렁 어떻게 벗어날까

분노의 수렁 어떻게 벗어날까

입력 2012-07-28 00:00
업데이트 2012-07-28 00: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화, 참을 수 없다면 똑똑하게】 전겸구 지음 21세기북스 펴냄

요즘 많은 사람들이 화가 나 있다. 나이의 많고 적음이나, 지위의 높고 낮음에 관계없이 ‘분노 게이지’가 한껏 높아진 듯하다. 도로 위에서 다투는 사람들을 보는 건 예사고 이유 없이 자기보다 어린 아이를 때리고 도망가거나, 아는 형의 목숨까지 앗아가는 청소년도 생겨난다. 양극화가 심화될수록 분노는 더 들끓는다.

들끓는 분노는 폭발할 곳을 찾기 마련이다. 우울증과 불안장애 등 병리현상을 넘어 자살이라는 극단적인 상황으로 사람들을 내몬다. 지난 2월 보건복지부는 우울증 등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이 5년 전보다 23%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결코 허투루 넘길 일이 아니다.

분노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것도 이런 이유다. 개인과 사회의 여러 병리현상의 중심에 분노가 똬리를 틀고 있기 때문이다. ‘화, 참을 수 없다면 똑똑하게’(전겸구 지음, 21세기북스 펴냄)는 분노의 정체를 먼저 알고, 잘 관리하는 방법을 깨달은 뒤, 분노의 수렁에서 벗어나 행복한 자아를 찾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사실 막연히 마음을 비우라거나 남을 용서하라는 등의 뻔한 얘기를 들으면 되레 화가 난다. 마음을 어떻게 비우는지 모르겠고, 도덕군자도 아닌 터에 얄미운 녀석을 냉큼 용서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책은 논리적이고 실증적이어서 점수를 얻고 있다.

분노는 치명적인 녀석이다. 저자는 “스트레스를 구성하는 슬픔, 수치심, 무서움 등의 요인 가운데 분노가 가장 근원적이며 치명적”이라며 분노를 제대로 관리하려면 먼저 분노가 왜 생기는지를 알아야 한다고 강조한다. 그가 분석한 분노의 발생 조건은 ‘네 가지’다.

먼저 당위적 기대가 어긋날 때다. 예컨대 친구가 약속에 늦었을 경우 ‘늦어서는 안 되지.’ 혹은 ‘늦더라도 미리 연락은 해줬어야지.’라는 기대가 어긋났기 때문이다. 둘째는 분노를 일으키는 현상 자체보다 그 현상에 자신의 부정적인 생각이 덧붙여질 때다. 친구가 늦은 현상 위에 ‘내가 시간이 남아도는 줄 아나?’라며 부정적인 해석을 곁들인다는 얘기다.

이 밖에도 현상을 자기 관점에서 보거나, 그 현상을 자신이 통제하지 못할 때 사람들은 쉽게 분노하게 된다.

‘네 가지’의 공통점은 자명하다. 죄다 자기중심적이란 거다. 뒤집으면 내가 상대방을 이해하려고 노력하거나, 최소한 마음의 여유라도 갖는다면 폭발 직전의 분노 게이지를 안정적인 단계로 끌어내릴 수 있다는 말도 된다.

저자는 사람들이 경험하는 분노의 94%가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일어난다고 했다. 가족이나 친구, 직장 동료 등으로 인한 분노가 절대 다수라는 거다. 따라서 분노 관리의 결과는 나와 주변의 불협화음을 줄이고, 관계를 회복하는 계기로 작용한다. 1만 5800원.

손원천기자 angler@seoul.co.kr

2012-07-28 1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