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와 차 한 잔] ‘추사, 명호처럼 살다’ 낸 최준호 아산미술문화재단 대표

[저자와 차 한 잔] ‘추사, 명호처럼 살다’ 낸 최준호 아산미술문화재단 대표

입력 2012-11-10 00:00
업데이트 2012-11-10 00: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추사의 말미구는 세상과 소통하는 수단”

추사 김정희의 호는 과연 몇 개일까. 학자들에 따라 다소 이견이 있지만 340여개의 호를 사용했던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그중 대표적인 호가 ‘추사’ 그리고 ‘완당’이다. 그렇다면 ‘추사’에는 어떤 사연이 있을까. 먼저 여기서 명호(名號)라는 말을 알아보자. 명호는 말 그대로 이름과 호를 통칭한다. 김정희가 중국으로 가기 전, 그러니까 1808년(23세) 때까지의 명호는 현란(玄蘭)이었다. 검고 깊으며 심오하다는 뜻의 ‘현’과 난초를 의미하는 ‘난’이다. 김정희가 묵(또는 먹)의 대가임을 참작해 ‘현’을 ‘검고 깊으며 심오하다’는 뜻으로 풀이했다.

이미지 확대
저자 최준호씨는 “김정희는 자신이 말하거나 호소하고자 하는 것을 담아내는 명호를 꾸준히 지어 썼다.”면서 김정희의 명호를 통해 그의 파란만장한 삶에 대한 접근을 시도했다. 도준석기자 pado@seoul.co.kr
저자 최준호씨는 “김정희는 자신이 말하거나 호소하고자 하는 것을 담아내는 명호를 꾸준히 지어 썼다.”면서 김정희의 명호를 통해 그의 파란만장한 삶에 대한 접근을 시도했다.
도준석기자 pado@seoul.co.kr
김정희는 명호 ‘현란’을 통해 선비의 신비함과 고결함을 표현하고자 했다. 그러다가 1809년 중국 연경으로 갈 때 명호 ‘추사’를 본격적으로 쓰기 시작했다. 이 시기야말로 추사의 일생과 명호사에서 모색과 전환을 꾀하는 중요한 시기에 해당한다. 추사(秋史)의 ‘추’에는 ‘추상같다’, 오행(五行) 중 ‘금’(金) 등의 의미가 있고 ‘사’에는 ‘사관’, ‘서화가’ 등의 의미가 있다. 완당은 중국의 완원을 스승으로 삼은 이후 ‘완’을 많이 사용하면서 나온 명호 중 하나인 것으로 풀이된다.

●340여개에 달하는 호를 쓴 것으로 알려져

신간 ‘추사, 명호처럼 살다’(아미재 펴냄)의 저자 최준호(55) 아산미술문화재단 대표는 6년여에 걸쳐 이 같은 추사의 명호와 ‘말미구’를 연구해 책으로 펴냈다. ‘말미구’(末尾句)는 편지나 작품의 마지막에 위치해 ‘편지를 쓴 뒤 또는 작품의 화제 및 제발 등을 쓴 뒤 마지막으로 명호와 함께 각종 운(韻)을 덧붙여 갈무리하는 구절의 총칭’이다.

“추사의 말미구는 현란합니다. 다른 사람(학자)과 구별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또 말미구에는 명호를 비롯해 일시운(日時韻), 명호 이상으로 복잡한 후미운(後尾韻), 장소운(場所韻), 배탁운(拜托韻), 중얼거림의 부백운(附白韻), 표제운(標題韻) 등 학술 요소들이 포함돼 있지요. 이렇듯 추사의 명호와 말미구는 세상과 소통하는 수단으로 자신의 학식을 알아주는 사람을 찾기 위한 그만의 표현법이자 문자향의 끼를 드러내는 수단이었습니다. 다시 말해 말미구 속에 담는 명호와 후미운은 상대에 따라 따르며 이것을 이해하면 작품과 추사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책은 저자가 추사의 명호를 통해 새로운 각도로 접근해 추사를 이해하고 조명했다는 점에서 흥미를 끈다. 이 책을 통해 그는 첫째, 추사가 빈틈없는 계산에 의해 명호와 후미운을 사용했으며 둘째, 추사가 사용한 말미구는 누구에게서도 쉽게 찾아볼 수 없는 그만의 독특한 언어 도구였다는 점과 셋째, 추사는 왜 세계에서 가장 많은 명호 343개를 사용했을까 등을 세밀하게 다루고 있다. 명호와 후미운 사용에서 나타난 추사의 다양한 면모를 찾아내 결국 추사가 명호처럼 살다가 생을 마쳤음을 추인하고 있다.

●빈틈없는 계산에 의해 명호와 후미운 사용

예를 들어 추사의 명호 343개를 13가지 유형별로 구분, 정리한 점이 그렇고 추사가 쓴 ‘륵(?) 관련 후미운’을 탈초(脫草·초서를 정자로 해독)하고 풀이한 것 등이 그렇다. 추사가 제주도에서 귀양살이를 하면서 중반과 후반에 ‘륵’과 관련된 후미운을 많이 썼다는 것 또한 중요한 연구 실적이다.

광주 출신인 저자는 홍익대 동양화과와 교육대학원, 국립타이완사범대학 미술대학원을 졸업했다. 타이완 유학 중 왕북악 교수에게서 ‘전각학’을 집중적으로 연마했다.

김문 선임기자 km@seoul.co.kr

2012-11-10 1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