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짓말·이야기… 느끼는 것 표현하는 해방의 행위

거짓말·이야기… 느끼는 것 표현하는 해방의 행위

입력 2013-09-11 00:00
업데이트 2013-09-11 00:1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스라엘 소설가 에트가르 케레트 여덟번째 소설집 ‘갑자기 누군가’

이스라엘의 소설가 에트가르 케레트(46)에게 이야기는 하나의 탈출구였다. 1992년 발간한 첫 번째 소설집 ‘파이프’는 가까운 친구가 자살한 뒤 쓰기 시작했다. 함께 입대한 친구는 군에 적응하지 못했다. 케레트가 자리를 비운 사이, 친구는 이마에 총을 대고 방아쇠를 당겼다. 목숨을 끊기 얼마 전 친구는 이렇게 말했다. “내가 자살하지 않아야 하는 이유를 하나라도 댈 수 있다면, 그러지 않을게.” 케레트는 대답하지 못했다. 왜 살아야 하는가. ‘파이프’는 친구의 질문에 대한 답변이었다. 여덟 번째 소설집 ‘갑자기 누군가 문을 두드린다’(문학동네)의 발간에 맞춰 지난 9일 한국을 찾은 그는 “여전히 답은 찾지 못했다”고 했다.
에트가르 케레트는 아모스 오즈와 데이비드 그로스만을 잇는 이스라엘 작가다. 첫 번째 소설집 ‘파이프’는 800부가 팔렸지만 이후 발표한 ‘미싱 키신저’와 ‘신이 되고 싶었던 버스 운전사’ 등은 자국에서 7만부 이상 팔리는 베스트셀러가 됐다. 문학동네 제공
에트가르 케레트는 아모스 오즈와 데이비드 그로스만을 잇는 이스라엘 작가다. 첫 번째 소설집 ‘파이프’는 800부가 팔렸지만 이후 발표한 ‘미싱 키신저’와 ‘신이 되고 싶었던 버스 운전사’ 등은 자국에서 7만부 이상 팔리는 베스트셀러가 됐다.
문학동네 제공
“정당하고 객관적인 답을 찾을 수 없었어요. 삶이 아름다운 건 모호하기 때문이니까. 삶은 나비를 박제하듯 책에 집어넣을 수 있는 게 아니라 삶을 벗어나는 행위를 통해서만 만져지는 것이죠. 이상하게 들리겠지만 내가 쓰는 모든 글은 다른 사람들에게 삶을 권하는 일이에요. 그저 죽음에 반대되는 것이나 자동적으로 ‘살아지는’ 그런 삶은 아니고요. 그때 답할 수 있었다면 소설을 쓰지 않았겠지만, 그것들은 말로 설명할 수 있는 것이 아니잖아요.”

이야기를 탈출구로 여기는 그의 단편들은 초현실적이다. “프란츠 카프카에게 이야기에는 답 대신 질문만 존재해도 된다는 점을, 커트 보네거트에게는 불편한 유머를 배웠다”는 그는 초현실을 가능성의 영역으로 바라본다. 주인공이 어린 시절 살던 마당 아래에는 거짓말들이 모여 사는 공간이 숨어 있고(‘거짓말 나라’), 혀 아래의 지퍼를 열면 “온몸이 굴(石花)처럼 쩍 벌어지”면서 완전히 다른 사람이 나타난다(‘지퍼 열기’).

“초현실적인 글쓰기는 나에게 삶의 선택지가 제한되었다는 데 대한 분노의 표출이었어요. ‘이게 메뉴라면 여기에서는 아무것도 주문하고 싶지 않다. 나는 다른 것을 원한다’는 것이었죠. 나는 현실을 그대로 옮기는 복사기가 되고 싶지 않아요.”

그래서 케레트에게 중요한 것은 객관적 재현이 아니라 “작가의 주관성”이다. 이스라엘의 복잡한 정치적 상황도 직접적으로 서술하는 대신 우회적인 방식을 택한다. 부인과 함께 연출한 영화 ‘젤리 피쉬’로 2007년 칸 국제영화제 황금카메라상을 받기도 한 그가 “이미지를 그대로 구현하는 것은 좋은 작품이 아니다”라고 여기는 것도 같은 맥락에서다.

“객관적 경험은 주관적 경험을 축소한 것에 불과하죠. 역사책과 다른 사람이 말하는 대로 현실을 기억하고 싶지는 않아요. 홀로코스트나 정치적인 문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예요. 정치는 항상 쓸모있는 것을 다루는데, 쓸모라는 것도 현실을 축소한 것에 그치죠. 하지만 예술은 언제나 그것들을 넘어서려는 시도예요.”

‘갑자기 누군가 문을 두드린다’는 이야기에 대한 근본적인 사유를 품고 있다. 갑자기, 누군가, 문을 두드리는 허구적 사건 뒤에야 이야기는 발생한다. 케레트는 “진실을 말하는 것은 질서를 따르지만 거짓말은 당신이 느끼는 것을 표현하는 해방의 행위”라며 거짓말과 이야기를 옹호한다. 책에는 36편의 단편이 담겨 있다.

“왜 장편이 아닌 단편만 쓰느냐는 질문을 많이 받아요. 단편을 쓰는 것은 선택의 문제가 아닙니다. 나에게 쓰기란 통제를 잃어가는 과정이에요. 과거도 미래도 인식하지 않고, 오로지 쓰는 현재에만 집중하죠. 어떻게 보면 폭발과 무척 비슷해요. 하지만 나는 느리게 폭발하는 법을 모릅니다.”

배경헌 기자 baenim@seoul.co.kr

2013-09-11 2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