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사인 시인 9년만의 세 번째 시집 ‘어린 당나귀 곁에서’
2010년 1월 30일 비보가 날아들었다. 심호택 시인(원광대 불문학과 교수)이 전주에서 교통사고로 숨졌다는 내용이었다. 엊그제 시인들 모임에서 만났는데 하루아침에 세상을 등졌다니 살고 죽는 게 허깨비 같았다. 산다는 건 결국 풍선을 부는 게 아닐까.9년 만에 신작 시집을 낸 시인 김사인은 “풍선은 불지 않으면 풍선이 아니고, 불다 보면 더 크게 불고 싶은 욕심에서 벗어날 수 없다”며 “우리 삶이 지닌 딜레마”라고 말했다.
창비 제공
창비 제공
시인 김사인(59·동덕여대 문예창작과 교수)은 자신이 몸담고 있는 세계의 온갖 애환을 시로 대신해 노래하고 운다. 동료의 갑작스러운 죽음에서 인간 욕망의 덧없음을 통곡했다. ‘만신’처럼 동시대 삶의 애환을 절규하기도 하고 신바람 나서 풀기도 한 시들이 한 권으로 묶였다. ‘어린 당나귀 곁에서’(창비)다. 2006년 두 번째 시집 ‘가만히 좋아하는’ 이후 9년 만이다.
시인은 “‘조금 더 서로에 대해 연민을 갖고 서로를 애틋해하고 작은 거라도 조금 더 나누는 삶이 왜 이렇게 어렵고 안 되는 걸까’, 그런 안타까움, 그런 삶에 대한 그리움을 담으려 했다”고 말했다. 시인의 바람은 ‘보살’에 함축돼 있다. ‘그냥 그 곁에만 있으믄 배도 안 고프고, 몇날을 나도 힘도 안 들고, 잠도 안 오고 팔다리도 개뿐허요. 그저 좋아 자꾸 콧노래가 난다요.(중략) 양말도 한번 더 빨아놓고 싶고, 흐트러진 뒷머리칼 몇올도 바로 해주고 싶어 애가 씌인다요.’
상스러운 말로 애환을 극대화하기도 한다. ‘문 앞에서 그대를 부르네./떨리는 목소리로 그대 이름 부르네./(중략) 대답 없자 비로소 큰 소리로 욕하네/개년이라고.’(빈집) ‘몸은 하나고 맘은 바쁘고/마음 바쁜데 일은 안되고/일은 안되는데 전화는 와쌓고//(중략) 바로 이때 나직하게 해보십지/에이 시브럴-’(에이 시브럴) “요리할 때 향신료를 가미하면 평범하던 식재료들이 확 살아난다. 문맥의 앞뒤 분위기 속에서 욕이 내는 향신료적인 맛, 그걸 통해 살려낼 수 있는 생기, 시 전체에 부여하는 긴장감을 기대하면서 썼다.”
시집 속 시들 가운데 표제를 삼은 여느 시집들과 다르다. 시집에 ‘어린 당나귀 곁에서’라는 시가 없다. “시집을 준비하는 동안 ‘어린 당나귀’라는 이미지와 말이 화두처럼 맴돌았다. 한편으론 무구하고 철없는 느낌도 있고 한편으론 당나귀는 근사한 말과 달라 비애, 슬픔 같은 것도 한 자락 있는 것 같다. 내 자신의 이미지이기도 하고 우리 사회가 처해 있는 힘들고 고통스러운 면이기도 하다.”
시집은 4부로 구성됐다. 1·2부는 누군가 시를 보여 달라고 했을 때 조금은 덜 부끄럽게 보여줄 수 있는 시들이고, 3부는 사회적 삶이나 역사적 현실에 대한 느낌들을 담은 시들이다. 4부는 유소년기와 고향 등 시인의 개인사가 묻어나는 시들이다. “시집엔 내 삶도 묻어 있고 비슷한 또래 이웃들의 삶도 묻어 있는 시들이 있다. 약간의 대표성이라도 갖는다면 밥값이라고 할 것이고 개인의 사담으로만 읽힌다면 실패한 시다.”
시인은 1987 첫 시집 ‘밤에 쓰는 편지’를 냈다. “첫 시집 이후 두 번째 시집을 낼 때 원고를 통째로 분실해 19년 걸렸다. 참말 또는 산말을 하기 위해 피 말려가며 애쓰는 게 시 쓰는 일의 본질이라고 생각한다. 9~10년 애를 써서 시집 한 권 공들여 묶는 게 나한텐 자연스럽고 적절한 속도인 것 같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5-01-13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