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지망생의 책장-읽어라, 청춘] “우린 혼자가 아니에요…힘들땐 손을 내미세요”

[서울대 지망생의 책장-읽어라, 청춘] “우린 혼자가 아니에요…힘들땐 손을 내미세요”

장형우 기자
장형우 기자
입력 2015-05-03 17:46
업데이트 2015-05-03 20: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창숙 작가 인터뷰

“우리는 어떠한 순간에도 혼자가 아니라는 말을 하고 싶습니다.”

이미지 확대
이창숙 작가
이창숙 작가


이창숙(51) 작가가 ‘무옥이’를 읽는 독자에게 가장 하고 싶은 말을 요약하면 바로 ‘함께’였다. 그는 “스스로를 고립시키지 말아야 하고, 남의 고통을 외면하지 말아야 하고, 내가 힘들 때는 다른 사람에게 도와 달라고 손을 내밀어야 한다”면서 “서로 돕지 않는다면 그 누구도 살아갈 수 없는 것이 인간이 아닐까”라고 했다.

다음은 작가와의 일문일답.

→작가로서 하고 싶은 이야기는.

-살아가기 만만치 않은 세상이지만 인간으로서 존엄을 끝까지 포기해서는 안 된다고 말하고 싶다. 이 세상을 움직이는 것은 몇몇 재벌이나 권력자가 아니라 수많은 민중들이니까. 그런 사람들을 무시하는 세상의 천박한 자본주의 논리를 거부하고 함께 연대해 싸워 나가야 한다고 생각한다.

→후기(後記)에 어머니에 대한 언급이 있는데, 이 글을 쓰게 된 특별한 동기가 있다면 무엇인가.

-어머니가 3개월 시한부 생명 판정을 받았을 때 이 글을 쓰기 시작했다. 이 책의 1부 앞부분, 공부를 하고 싶어 하던 소녀는 어머니가 모델이다. 무옥이라는 이름도 바로 내 어머니 이름이다. 어머니의 삶을 모델로 하여 허구가 많이 더해졌다. 특히 1부 끝 부분부터 2부는 무옥이라는 소녀가 있었다면 영등포로 간 뒤 어떤 삶을 살았을까 생각하면서 방직공장 노동자로 그려 나갔다.

→이 작품을 쓰면서 중요하게 생각한 점이 있다면 무엇인가.

-무옥이의 성격이다. 어디에서나 잘 나서고 말도 잘하고 똑똑하고 의지도 강한 사람은 의외로 흔하지 않은 것 같다. 주저하고 망설이고 뒤로 처지는 사람들이 더 많지 않을까. 하지만 앞에 나서는 몇 사람 때문에 역사가 변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잘나지 못한 많은 평범한 사람들의 한 걸음 한 걸음 때문에 역사는 변하는 것이 아닐까. 그래서 무척 소극적이고 평범한 성격의 소녀를 주인공으로 삼았다.

→무옥이는 역사와 개인과의 관계에 대해서도 생각을 하게 한다. 현재 우리 사회에서 가장 암울한 부분과 가장 희망적인 부분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

-부도덕한 사람들이 대를 이어 권력층에 포진하고 있는 점이 가장 큰 문제다. 친일파 후손이나 유신독재 잔당이 권력의 핵심을 틀어쥐고 있는 상황에서는 제대로 된 역사나 교육, 정치, 문화, 예술 등이 나올 수 없다고 본다. 썩어 빠진 것은 언젠가 스스로 무너질 것이라는 점이 한 가지 희망이고 다른 한 가지는 젊은 세대에 대한 기대이다. 비록 지금 많이 위축되어 있지만 그들 스스로 우리 사회의 정의를 위해 일어설 날이 올 것이라 기대한다.
2015-05-04 2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