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적을 행하는 왕/마르크 블로크 지음/박용진 옮김/한길사/600쪽/2만 8000원
“왕이 너를 만지고, 신이 너를 치료하노라.”
중세 프랑스와 영국에서는 왕이 손을 대서 연주창(결핵성 임파선염)을 고치는 기적을 행한다고 믿었다. 왜 하필 연주창이었을까. 그리고 이런 기적을 왕이 일으킨다는 것은 무슨 의미일까.
‘기적을 행하는 왕’은 민간요법서나 기담집에나 있을 법한 허무맹랑한 이야기를 다룬다. 저자는 사회경제사가로서 독보적 지위를 점하고 있는 프랑스의 역사학자 마르크 블로크(1886∼1944)다. 블로크는 자신의 첫 번째 저서인 이 책에서 왕이 연주창을 치료하는 기적의 기원, 발전과 확산, 쇠퇴와 소멸을 차례로 설명한다.
왕이 손을 대서 치료하는 기적은 프랑스에서는 1000년, 영국에서는 1100년쯤 시작됐으며 간헐적으로 이뤄지다가 13세기 중반 이후 관습으로 정착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런 치료방식은 1500년 들어서 가장 성행했고, 프랑스의 프랑수아 1세는 1528년 최소 1326명, 1630년 최소 1731명을 치료했다고 전해진다. 그러다 영국은 1714년 하노버 왕조가 시작되면서, 프랑스는 이보다 100년가량 늦은 1824년 샤를 10세를 마지막으로 손대기 치료가 사라진다. 종교개혁과 계몽사상의 영향으로 가톨릭에서 인정하는 기적이 배척받으면서다.
저자는 왕의 손대기 치료를 두 가지 방법으로 접근한다. 하나는 치료 그 자체이고, 또 하나는 이 치료가 사람들에게 어떻게 받아들여졌는가이다. 저자는 이를 기적의 역사, 그리고 기적을 믿는 역사로 표현한다. 블로크는 “기적에 대한 믿음을 만들어낸 것은 기적이 있어야 한다는 생각”이라고 설명한다. 이 같은 ‘집단심성’에 왕에게 신성성을 부여하려는 당시 권력층의 의도가 합쳐져 손대기 치료라는 기적으로 미화됐다.
책은 손대기 치료에 대한 역사적 의미를 분석한 것을 넘어서 당시 역사학계에는 거의 이뤄지지 않았던 심리학적 역사학, 즉 심성사의 첫걸음을 내딛은 역사서로 평가받고 있다.
함혜리 선임기자 lotus@seoul.co.kr
중세 프랑스와 영국에서는 왕이 손을 대서 연주창(결핵성 임파선염)을 고치는 기적을 행한다고 믿었다. 왜 하필 연주창이었을까. 그리고 이런 기적을 왕이 일으킨다는 것은 무슨 의미일까.
‘기적을 행하는 왕’은 민간요법서나 기담집에나 있을 법한 허무맹랑한 이야기를 다룬다. 저자는 사회경제사가로서 독보적 지위를 점하고 있는 프랑스의 역사학자 마르크 블로크(1886∼1944)다. 블로크는 자신의 첫 번째 저서인 이 책에서 왕이 연주창을 치료하는 기적의 기원, 발전과 확산, 쇠퇴와 소멸을 차례로 설명한다.
왕이 손을 대서 치료하는 기적은 프랑스에서는 1000년, 영국에서는 1100년쯤 시작됐으며 간헐적으로 이뤄지다가 13세기 중반 이후 관습으로 정착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런 치료방식은 1500년 들어서 가장 성행했고, 프랑스의 프랑수아 1세는 1528년 최소 1326명, 1630년 최소 1731명을 치료했다고 전해진다. 그러다 영국은 1714년 하노버 왕조가 시작되면서, 프랑스는 이보다 100년가량 늦은 1824년 샤를 10세를 마지막으로 손대기 치료가 사라진다. 종교개혁과 계몽사상의 영향으로 가톨릭에서 인정하는 기적이 배척받으면서다.
저자는 왕의 손대기 치료를 두 가지 방법으로 접근한다. 하나는 치료 그 자체이고, 또 하나는 이 치료가 사람들에게 어떻게 받아들여졌는가이다. 저자는 이를 기적의 역사, 그리고 기적을 믿는 역사로 표현한다. 블로크는 “기적에 대한 믿음을 만들어낸 것은 기적이 있어야 한다는 생각”이라고 설명한다. 이 같은 ‘집단심성’에 왕에게 신성성을 부여하려는 당시 권력층의 의도가 합쳐져 손대기 치료라는 기적으로 미화됐다.
책은 손대기 치료에 대한 역사적 의미를 분석한 것을 넘어서 당시 역사학계에는 거의 이뤄지지 않았던 심리학적 역사학, 즉 심성사의 첫걸음을 내딛은 역사서로 평가받고 있다.
함혜리 선임기자 lotus@seoul.co.kr
2015-05-16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