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구자본주의/스테판 지만스키 지음/이창섭 옮김/처음북스/408쪽/1만 6000원
‘고기도 먹어 본 놈이 먹는다.’ 일상에서 흔히 듣는 말이다. 이 말을 축구계에 대입하면 ‘우승도 해 본 놈이 한다’ 정도 되겠다. 실제 그렇다. 스페인 프로축구 레알 마드리드가 좋은 예다. 이 구단이 거둔 성적표는 경이롭다. 1929년 출범한 자국 리그(라리가)에서만 총 32회 우승했다. 2014년 유럽 챔피언스리그에서 ‘라 데시마’(10회 우승)라는 전례 없는 위업도 달성했다. 그야말로 축구계의 왕족(‘레알’은 스페인어로 ‘왕족’을 뜻한다)이다.
이처럼 축구는 소수의 팀이 지배한다. 이는 전 세계적인 현상이다. 예컨대 유럽축구연맹(UEFA) 가입국의 1부 리그에만 700개가 넘는 팀이 있지만, 지난 50년간 챔스리그 우승을 경험한 팀은 11개에 불과했다. 뒤집어 보면 ‘고기 못 먹어 본 놈은 앞으로도 못 먹을 것’이란 얘긴데, 이게 과연 옳은 일일까. 새 책 ‘축구 자본주의’는 바로 이에 대한 담론을 담고 있다. 저자가 25년 동안 조사한 각국 구단의 재정상태와 변화추이를 바탕으로 논지를 이어간다.
저자의 주장을 요약하면 “우승컵 들어 본 놈이 계속 우승컵을 들게 놔 두라”다. 세계 프로축구를 유지하는 근간은 승강제다.
강팀은 상위 리그에 머물고, 약팀은 하위 리그로 곤두박질친다. 이 결과는 이후 ‘족쇄’처럼 작용한다. ‘잘되는 집’은 챔피언스리그에 출전해 더 많은 돈을 벌고, 그 수익으로 더 실력 있는 선수를 영입하고, 그 덕에 또 승리를 거둔다. 선순환 구조다.
‘안되는 집’은 당연히 악순환이다. 시즌 내내 깨지기만 하다가 하위 리그로 강등된다. 재정난도 시작된다. TV 중계료 수입은 주는데 선수 연봉은 줄지 않기 때문이다. ‘곳간’이 비었으니 특급 스타를 영입할 수도 없다. 결국 다음 시즌에도 비슷한, 혹은 더 나쁜 상황이 이어진다. 꼴찌가 절대 일등을 이길 수 없는 구조가 고착화되는 것이다.
그래서 미셸 플라티니처럼 이에 대한 간섭과 규제가 필요하다고 주장하는 이도 나온다. 한데 저자의 생각은 다르다. 축구는 늘 “소수의 지배와 다수의 재정적 핍박이 있는 사회”였다. 부조리해 보인다고 승강제를 포함해 판 전체를 엎을 수는 없다. 축구선수에게, 팬들에게 승강제는 희망이자 목표다. 그걸 빼앗는 게 외려 더 잔인한 행위다. 그냥 둬야 더 열광적으로, 더 발전적으로 돌아간다. 이는 축구 역사가 증명하고 있다.
물론 현재 시스템 유지가 유일한 해결책은 아니다. 손볼 곳들은 있다. 하지만 대개는 지엽적인 문제이니 만큼 근간은 흔들지 말아야 한다는 게 저자의 주장이다.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이처럼 축구는 소수의 팀이 지배한다. 이는 전 세계적인 현상이다. 예컨대 유럽축구연맹(UEFA) 가입국의 1부 리그에만 700개가 넘는 팀이 있지만, 지난 50년간 챔스리그 우승을 경험한 팀은 11개에 불과했다. 뒤집어 보면 ‘고기 못 먹어 본 놈은 앞으로도 못 먹을 것’이란 얘긴데, 이게 과연 옳은 일일까. 새 책 ‘축구 자본주의’는 바로 이에 대한 담론을 담고 있다. 저자가 25년 동안 조사한 각국 구단의 재정상태와 변화추이를 바탕으로 논지를 이어간다.
저자의 주장을 요약하면 “우승컵 들어 본 놈이 계속 우승컵을 들게 놔 두라”다. 세계 프로축구를 유지하는 근간은 승강제다.
강팀은 상위 리그에 머물고, 약팀은 하위 리그로 곤두박질친다. 이 결과는 이후 ‘족쇄’처럼 작용한다. ‘잘되는 집’은 챔피언스리그에 출전해 더 많은 돈을 벌고, 그 수익으로 더 실력 있는 선수를 영입하고, 그 덕에 또 승리를 거둔다. 선순환 구조다.
‘안되는 집’은 당연히 악순환이다. 시즌 내내 깨지기만 하다가 하위 리그로 강등된다. 재정난도 시작된다. TV 중계료 수입은 주는데 선수 연봉은 줄지 않기 때문이다. ‘곳간’이 비었으니 특급 스타를 영입할 수도 없다. 결국 다음 시즌에도 비슷한, 혹은 더 나쁜 상황이 이어진다. 꼴찌가 절대 일등을 이길 수 없는 구조가 고착화되는 것이다.
그래서 미셸 플라티니처럼 이에 대한 간섭과 규제가 필요하다고 주장하는 이도 나온다. 한데 저자의 생각은 다르다. 축구는 늘 “소수의 지배와 다수의 재정적 핍박이 있는 사회”였다. 부조리해 보인다고 승강제를 포함해 판 전체를 엎을 수는 없다. 축구선수에게, 팬들에게 승강제는 희망이자 목표다. 그걸 빼앗는 게 외려 더 잔인한 행위다. 그냥 둬야 더 열광적으로, 더 발전적으로 돌아간다. 이는 축구 역사가 증명하고 있다.
물론 현재 시스템 유지가 유일한 해결책은 아니다. 손볼 곳들은 있다. 하지만 대개는 지엽적인 문제이니 만큼 근간은 흔들지 말아야 한다는 게 저자의 주장이다.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2016-02-13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