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사람을 보라 1·2/김정남 지음/두레/1권 624쪽, 2권 636쪽/1권 2만 2000원, 2권 2만 3000원
김수환, 장준하, 전태일, 김남주, 전병용…. 군사독재 암흑시대에 빛을 비춰 민주화 시대를 연 사람들의 이야기를 기록했다.
이 땅의 민주화와 인권을 위해 헌신한 사람들 49명과 민주화 운동의 중심에 있었고 지금도 힘없는 이들 곁을 지키는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 이야기를 담았다.
책에 실린 이야기 중에는 과거 공개할 수 없었던 내용도 있다. 저자는 “관계된 사람의 이름을 실명으로 공개할 수 없는 사정도 있었다. 그러나 이제는 말할 수 있게 됐다. 전병용과 관련된 일련의 이야기가 특히 그렇다”고 했다. 전병용은 함경남도 북청에서 태어났다. 1947년 아버지를 따라 월남, 1967년 교도관으로 임용됐다. 서울구치소에 근무하면서 당시 투옥됐던 민주화 투사들을 헌신적으로 도왔다. 김지하는 뒷날 그의 회고록 ‘흰 그늘의 길’에서 “전병용, 이 사람, 이 사람의 용기와 헌신, 희생을 잊은 사람이 있다면 그는 민주화 운동의 정당성을 훼손하는 사람이 될 것”이라고 썼다.
잘못 알려진 것을 바로잡기도 했다. 저자는 “1972년 10월 17일 유신정변 이후 최초의 반유신투쟁으로 1973년 10월 2일 서울대생들의 시위를 꼽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그보다 앞서 전남대 ‘함성’지 사건이 있었다는 것을 아는 이는 드물다”고 지적했다. ‘함성’지는 10월 17일 유신과 함께 선포된 비상계엄 때문에 일제 휴교에 들어갔던 대학들이 12월 10일 다시 개교하는 날에 맞춰 학생들이 읽을 수 있도록 12월 9일 늦은 밤 광주 시내 여러 학교에 뿌려졌다.
저자는 1964년 6·3 한일회담 반대투쟁 배후 인물로 구속된 이래 30여년 동안 민주화 운동에 투신했다. 그는 “감추어진 진실을 빛 속에 드러내는 것, 그것이 이 책을 쓰는 이유”라고 했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김수환, 장준하, 전태일, 김남주, 전병용…. 군사독재 암흑시대에 빛을 비춰 민주화 시대를 연 사람들의 이야기를 기록했다.
이 땅의 민주화와 인권을 위해 헌신한 사람들 49명과 민주화 운동의 중심에 있었고 지금도 힘없는 이들 곁을 지키는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 이야기를 담았다.
책에 실린 이야기 중에는 과거 공개할 수 없었던 내용도 있다. 저자는 “관계된 사람의 이름을 실명으로 공개할 수 없는 사정도 있었다. 그러나 이제는 말할 수 있게 됐다. 전병용과 관련된 일련의 이야기가 특히 그렇다”고 했다. 전병용은 함경남도 북청에서 태어났다. 1947년 아버지를 따라 월남, 1967년 교도관으로 임용됐다. 서울구치소에 근무하면서 당시 투옥됐던 민주화 투사들을 헌신적으로 도왔다. 김지하는 뒷날 그의 회고록 ‘흰 그늘의 길’에서 “전병용, 이 사람, 이 사람의 용기와 헌신, 희생을 잊은 사람이 있다면 그는 민주화 운동의 정당성을 훼손하는 사람이 될 것”이라고 썼다.
잘못 알려진 것을 바로잡기도 했다. 저자는 “1972년 10월 17일 유신정변 이후 최초의 반유신투쟁으로 1973년 10월 2일 서울대생들의 시위를 꼽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그보다 앞서 전남대 ‘함성’지 사건이 있었다는 것을 아는 이는 드물다”고 지적했다. ‘함성’지는 10월 17일 유신과 함께 선포된 비상계엄 때문에 일제 휴교에 들어갔던 대학들이 12월 10일 다시 개교하는 날에 맞춰 학생들이 읽을 수 있도록 12월 9일 늦은 밤 광주 시내 여러 학교에 뿌려졌다.
저자는 1964년 6·3 한일회담 반대투쟁 배후 인물로 구속된 이래 30여년 동안 민주화 운동에 투신했다. 그는 “감추어진 진실을 빛 속에 드러내는 것, 그것이 이 책을 쓰는 이유”라고 했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6-02-13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