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마 ‘미스터 션사인’의 시간적, 공간적 배경인 20세기 초 옛 서울의 모습을 보여주는 책 ‘표석을 따라 한성을 거닐다’(전국역사지도사모임 지음·유씨북스 펴냄)가 나왔다. 이는 ‘표석을 따라 경성을 거닐다’의 시리즈 2탄 격으로 120여년 전의 서울의 모습을 보여준다.
1부 ‘근대국가로의 시대적 요구’에서는, 고종의 근대화 프로젝트 중 하나인 ‘전기/전화/전차’를 시작으로 서양의학, 중등교육, 언론(신문), 여성교육 등 근대국가와 근대사회의 체제를 갖추어가는 모습을 보여준다. 당시의 시대상뿐 아니라 조선의 제도와 비교하여 어떻게 다르고 새로운지,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어떻게 변모해가는지를 이야기하고 있어서 근대도시 한성의 모습을 총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부강몽 길’에서는, 동아시아 최초의 전기인 경복궁의 전기등소와 근대적 의미의 전기 사업인 전차, 김구의 살인사건과 사면과 관련한 고종의 전화 이야기를 소개한다. ‘서양의학 길’에서는, 최초의 근대식 국립병원인 제중원이 어떻게 만들어지게 되었는지를 조선의 의료제도에서 시작하여 국내외 정세와 맞물려 미국과 일본의 의료법과 제도가 들어와 어떻게 안착하게 되었는지 이야기한다. ‘중등교육 길’에서는, 시대의 혁명가 성삼문과 김옥균의 집 터에 어떻게 근대식 중등교육인 중학교와 고등보통학교가 세워졌는지 소개한다. ‘신문사 길’에서는, 개화와 근대화가 시작되며 열강의 각축장이 된 상황에서 언론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대두되어 등장한 근대 신문들을 소개하고 일제가 자행한 언론 탄압도 설명한다. ‘여학교 길’에서는, 왕후의 공간이 우연치 않게 어떻게 여성들을 위한 교육 현장으로 바뀌는지 소개한다.
갑신정변이 삼일천하로 끝나고, 청일전쟁에서 일본이 승리함으로써 조선은 더욱 위태로워졌다. 이에 고종은 구본신참 부국강병 자주독립을 꿈꿨고, 백성들도 신문물을 받아들이며 강해지고자 노력했다. 20세기 초 한성에서 볼 수 있는 개화와 근대화의 풍경은 열강의 압력도 있었지만 그에 맞서 자주독립을 위해 조선이 택한 길이었다는 것에 고개가 끄덕여진다.
2부 ‘개화와 근대화의 한성 풍경’에서는, 요릿집이 된 순화궁을 시작으로 용산이 남의 땅이 된 사연, 파계 득도한 근대 지성인 만해, 육의전이 몰락한 자리에 세워진 근대 유통시설인 백화점의 등장, 조선 최고의 학촌 등 대화와 근대화의 한성 풍경을 담은 흥미로운 이야깃거리를 소개한다.
‘태화관 길’에서는, 기생이 시중드는 요릿집에서 3·1독립선언을 했다고 논란이 된 태화관이 원래는 궁궐이었다가 이완용의 별장으로 쓰였다는 사실을 말한다. 또한 당시 기생은 섹슈얼리티의 접대부가 아닌 지금의 만능 엔터테이너 아이돌이었다는 것을 설명한다. ‘용산 길’에서는 교통과 통신의 요충지인 청파역과 용산에 어떻게 일본인 거주지와 조선주둔군 부대 등이 들어서 남의 땅이 되었는지 이야기한다. ‘심우장 길’에서는, 계를 파하고 글로써 총을 대신한 만해를 통해 당시 지성인들의 삶을 이야기한다. ‘백화점 길’에서는, 조선 최고의 상권 육의전이 왜 몰락하게 되었는지, 그 자리에 최초의 근대적 민족 백화점이 들어서서 일본 백화점들과 어떻게 경쟁하게 되었는지 이야기한다. ‘대학로 길’에서는 조선의 대학로 반촌 이야기를 하면서 일제가 왜 대학로에 경성제국대학을 세웠고, 김창숙은 왜 목숨 걸고 성균관을 지켰는지 이야기한다.
격동의 시대 한성에는 미국 선교사들이 세운 학교와 병원과 교회에서 근대정신이 싹텄고, 서구 문물과 제도의 도입으로 사회 다방면에서 큰 변화가 일어났다. 대한제국을 전후한 개화와 근대화의 한성 풍경을 담은 이 책을 통해 당시 사회상과 근대화 초기 역사를 살펴볼 수 있다.
이기철 선임기자 chuli@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