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년생 김지영’에 남자들은 거리 뒀다

‘82년생 김지영’에 남자들은 거리 뒀다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18-12-12 23:02
업데이트 2018-12-13 03: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00만부 팔렸지만 男구매 순위 밖

100만부 넘게 팔리며 올 한 해 페미니즘 대중화를 견인한 조남주 작가의 소설 ‘82년생 김지영’(민음사)이 정작 남성들에게는 인기를 끌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여성은 연령대 전반에 걸쳐 베스트셀러 상위권을 기록했지만, 남성 베스트셀러 목록에서는 순위 밖으로 밀렸다.
이미지 확대
●여성 전 연령대 베스트셀러와 대조

교보문고가 12일 발표한 올해 베스트셀러 성·연령별 분석 결과 ‘82년생 김지영’은 여성 연령대 전반에 걸쳐 베스트셀러 목록 상위권에 올랐다. 10대 여성에서 1위, 20대 2위, 30대에서 3위, 50대에서 2위를 기록했다. 40·60대 여성에서는 각각 5위를 차지했으며, 전체 순위로는 2위를 기록했다.

그러나 남성 독자들의 연령대별 도서 구매 현황은 이와 달랐다. 10·20·30·60대에서는 아예 10위권에도 들지 못했다. 40대 남성 9위, 50대 남성 7위 정도에만 간신히 이름을 올리는 정도였다. 교보문고 관계자는 “40대 이상 연령대에서는 책 판매량이 급감하기 때문에 40·50대에서 각각 9위, 7위를 차지했더라도 주목할 정도의 판매량이라 보긴 어렵다”고 설명했다.

‘82년생 김지영’을 통해 우리 사회 여성의 삶을 보여준 책은 2016년 5월 강남역 살인사건 이후 출간되면서 페미니즘 대중화를 불붙이는 계기가 됐다. 고(故) 노회찬 의원 등 정치인이 추천하면서 유명해졌고, 지난달 출간 2년 만에 100만부를 돌파하기도 했다.

●“문제의식 촉발했지만 결국 여성만 공감”

백원근 책과사회연구소 대표는 이런 현상과 관련, “소설이 우리 사회 속 여성에 관한 문제의식을 제기하지만, 결국 공감하는 이들은 여성뿐이었다는 사실을 여지없이 보여준 사례”라고 설명했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8-12-13 2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