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중 기자의 책 골라주는 남자] ‘집콕’ 답답한 시절…여행 책을 펼쳐 봐

[김기중 기자의 책 골라주는 남자] ‘집콕’ 답답한 시절…여행 책을 펼쳐 봐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20-03-05 17:18
업데이트 2020-03-06 01: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코로나19 사태 이후 도서 가운데 여행 책이 가장 큰 타격을 입었습니다. 한 대형서점에 물어보니, 지난 두 달 동안 여행 서적 판매량이 전년 대비 무려 57%나 줄었다고 합니다.

전국적으로 감염증이 퍼져 있어 여행을 엄두 내지 못하는 상황을 반영했겠지요.

그동안 눈여겨 뒀던 여행 책들을 꺼내 읽어봅니다. ‘뉴욕 오디세이’(이랑)는 30년째 뉴욕에서 살고 있는 이철재 변호사가 뉴욕의 구석구석을 담은 책입니다. 뉴욕의 역사는 물론이거니와 유명한 곳들, 그리고 뉴욕의 명물 ‘버팔로 윙’ 등 음식 유래까지 세세하게 풀어냅니다.

흔히 뉴욕 하면 복잡한 도시의 모습을 떠올리게 마련일 겁니다. 그러나 주말에 장에 나가 동네 과수원에서 따 온 딸기와 살구를 사다 잼을 만들고, 뒷마당에 심은 바질을 뜯어 페스토 소스를 만들어 친구들과 나누어 먹는 뉴요커의 일상이 펼쳐집니다. 흑백으로 진중하게 담아낸 사진이 글과 잘 맞습니다. 유명 저자가 그저 유명한 곳 몇 군데를 돌아다니고 써낸 여행 에세이들에 비해 훨씬 깊이 있고 재밌습니다.
이미지 확대
25년 이상 유럽을 이웃집 드나들듯 다닌 박종호 칼럼니스트의 ‘베를린 포츠담’(풍월담) 역시 눈에 띕니다. 베를린에는 오페라극장만 세 군데이며, 도시를 대표할 만한 대형 도서관과 커다란 공원도 두 군데가 있습니다. 저자는 베를린이 이처럼 문화적으로 풍요한 도시가 된 이유가 분단 때문이라고 설명합니다. 동서로 갈린 독일이 통일되면서 동서에 하나씩 존재하던 대표 문화 기관이 다시 모였기 때문입니다.

세계에서 가장 전위적인 유대인 박물관을 비롯해 폭격으로 부서진 옛 건물을 일부러 그대로 놔두고 그 옆에 현대적으로 지은 교회, 피에타 조각상 하나만 두고 건물 전체를 비워 놓은 전몰장병 추모소 등을 화려한 컬러 사진으로 묶었습니다. 이야기를 풀면서 시대상을 알려주는 소설, 영화 등도 엮어 냈습니다.

즐겁게 책을 읽다가 한숨이 나옵니다. 코로나19가 언제쯤 끝날까요. 그리고 우리는 언제쯤 마음 놓고 다닐 수 있을까요.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20-03-06 2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