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시대에 인간은 뭘까”

“AI 시대에 인간은 뭘까”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21-06-28 17:14
업데이트 2021-06-29 03:3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인공지능 인문학 총서 3권 출간

이미지 확대
“인공지능(AI)은 마케팅을 위한 광고 문구, 정치적 논란을 피하기 위한 기술적 핑계, 정부 돈으로 연명하는 기업들의 제안서용 키워드로 전락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인공지능 시대가 도래한다고 호들갑 떨지만 손에 잡히는 건 딱히 없다. 인문학적 성찰은 더 빈약하다. 중앙대 인문콘텐츠연구소 HK플러스(+) 인공지능인문학사업단이 이에 대한 논의를 다룬 AI 인문학 총서 3권을 최근 출간했다.

최성환 중앙대 철학과 교수·김형주 중앙대 인공지능인문학단 HK플러스 교수가 1권 ‘AI 시대, 행복해질 용기’에서 AI 시대 인간의 행복 조건을 탐색한다. 철학자, 법학자, 신학자, 사회학자 등 12명의 인문학적 연구 성과를 엮었다. AI 시대 인간의 정체성, 인간관계와 공동체의 의미, 인간과 기계의 관계 등 담론을 만들 ‘AI 인간학’을 구성하자고 제안한다.
이미지 확대
이찬규 중앙대 인공지능인문학단장은 2권 ‘미래는 AI의 것일까?’에서 AI와 인간이 함께 만들어 갈 미래를 성찰한다. 14명의 인문학자와 사회과학자들이 수행한 연구 성과를 정리했다. 인간을 넘어서는 능력을 갖추게 될 AI와 인간의 경계를 탐색한다.
이미지 확대
3권 ‘인공 지능 없는 한국’에서는 AI가 기업과 교육, 사회, 국가를 어떻게 바꿀지 전망하고 대안을 살핀다. IT 및 게임 산업 전문가인 위정현 중앙대 경영학부 교수가 썼다. 위 교수는 알파고와 이세돌 대국 이후 한국 사회에 AI 붐이 뜨겁게 불었지만 우리가 제대로 대응하는지 묻는다. 그는 “IT 강국 신화에 갇힌 한국 사회와 국가가 AI에 기반을 둔 산업 생태계를 제대로 구축하기 위한 행동에 나서지 않는다면 ‘AI 후진국’으로 전락할 것”이라 경고한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21-06-29 23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