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세기 자유·전위의 반복… 켜켜이 담은 詩의 목소리

반세기 자유·전위의 반복… 켜켜이 담은 詩의 목소리

오경진 기자
오경진 기자
입력 2024-04-08 02:27
수정 2024-04-08 02:2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문학과지성사 ‘문지시인선 600호’·창비 ‘창비시선 500호’ 돌파

문지시인선
표지의 프레임·컷·색깔 유명
1호는 황동규 ‘나는 바퀴를…’
기형도 ‘입 속의 검은 잎’ 94쇄

창비시선
1호는 1975년 신경림 ‘농무’
최영미 ‘서른, 잔치는 끝났다’
출간 1년간 50만부이상 팔려
이미지 확대
최근 600호를 돌파한 문학과지성사의 문지시인선 책 뭉치. 문학과지성사 제공
최근 600호를 돌파한 문학과지성사의 문지시인선 책 뭉치.
문학과지성사 제공
한국 현대시의 흐름을 한마디로 정의하는 건 어려운 일이다. 엄혹한 현실에서 자유를 위해 투쟁하면서도 예술의 변방에서 끝없는 전위와 혁신을 거듭해야 했기 때문이다. 반세기 가까이 멈추지 않고 이들을 후원했던 출판사 문학과지성사와 창비는 그 여정의 든든한 동반자다.
이미지 확대
1978년 출간된 문지시인선 1호 황동규 시인의 ‘나는 바퀴를 보면 굴리고 싶어진다’. 문학과지성사 제공
1978년 출간된 문지시인선 1호 황동규 시인의 ‘나는 바퀴를 보면 굴리고 싶어진다’.
문학과지성사 제공
이미지 확대
1975년 나온 창비시선 1호 신경림 시인의 ‘농무’. 창비 제공
1975년 나온 창비시선 1호 신경림 시인의 ‘농무’.
창비 제공
7일 문학계에 따르면 최근 2주 사이를 두고 문학과지성사의 ‘문지시인선(詩人選)’이 600호(‘시는 나를 끌고 당신에게로 간다’·4월 3일)를, 창비의 ‘창비시선’이 500호(‘한 사람의 노래가 온 거리에 노래를’·3월 27일)를 돌파했다. 문지시인선은 시집을 낼 때마다 국내 시인선 최다 호수 기록을 갈아치우고 있다. 첫 출간 시기는 민음사의 ‘오늘의 시인총서’(1974년)나 창비시선(1975년)보다 늦었지만 가장 활발히 시집을 펴내며 한국문학을 대표하는 시인선으로 거듭났다. 문지시인선 1호는 황동규 시인의 ‘나는 바퀴를 보면 굴리고 싶어진다’로 1978년 출간 이후 46년이 됐다. 한 해 평균 13권 이상의 시집을 내놓은 셈이다. 창비도 꾸준히 시인선을 펼치며 ‘500호’라는 금자탑을 쌓았다. 창비시선 1호는 신경림의 ‘농무’다.

이광호 문학과지성사 대표이사 겸 문학평론가는 “시적 자아의 측면에서 신경림은 농민을 대변해야 한다는 위치에 서 있던 반면, 황동규의 시집은 ‘나’라는 것을 확신할 수 있는가에 대한 질문으로 채워져 있다”고 말했다. 문지시인선 중에서는 기형도 시인의 ‘입 속의 검은 잎’(1989년)이 가장 많은 94쇄를 찍으며 꾸준히 사랑받았다. 황지우의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1983년)가 67쇄, 최승자의 ‘이 시대의 사랑’(1981년)이 57쇄를 찍었다.
이미지 확대
지난 3일 출간된 문지시인선 600호 특별시선집 ‘시는 나를 끌고 당신에게로 간다’. 문학과지성사 제공
지난 3일 출간된 문지시인선 600호 특별시선집 ‘시는 나를 끌고 당신에게로 간다’.
문학과지성사 제공
문지시인선의 역사는 표지의 미학을 빼고 이야기할 수 없다. ‘시인들의 시인’으로 불리는 오규원이 디자인한 것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액자를 연상케 하는 사각형 틀 안에 소설가 이제하와 시인 겸 무용평론가 김영태가 그린 캐리커처를 배치한다. 2007년 김영태 시인이 작고한 뒤로는 주로 이제하 소설가가 컷을 그리고 있다. 표지의 색깔은 100호를 전후로 변해 왔다. 황토색으로 시작해 청색, 초록색, 고동색, 군청색, 자주색에서 600호부터는 청량한 개방감을 주는 하늘색이다. 시인들 사이에서는 문지시인선 디자인이 이번에 대폭 바뀔 거라는 소문이 돌기도 했으나 기존 디자인을 고수하는 쪽으로 정해졌다.

이 대표는 “표지 프레임과 컷은 비단 한 출판사의 디자인이 아니라 한국 현대시의 유산이며 젊은 세대에게도 여전히 상당한 영향을 준다는 점에서 기존의 디자인을 존중하는 쪽으로 결정했다”고 전했다.
이미지 확대
지난달 27일 창비시선 500호 특별시선집 ‘한 사람의 노래가 온 거리에 노래를’. 창비 제공
지난달 27일 창비시선 500호 특별시선집 ‘한 사람의 노래가 온 거리에 노래를’.
창비 제공
창비에서는 정호승 시인의 ‘슬픔이 기쁨에게’(1979년)가 59쇄를 기록하며 지금까지도 애송되고 있다. 최영미 시인의 ‘서른, 잔치는 끝났다’(1994년)는 출간 후 1년간 무려 50만부가 넘게 팔렸다. 최근에는 499호로 2000년생 ‘Z세대 시인’ 한재범의 ‘웃긴 게 뭔지 아세요’를 내놓으며 새로운 감각으로 독자와 호흡하고 있다.

후발주자들도 가세하며 한국 시단은 더욱 다채로워졌다. 민음사는 시인의 선집 개념인 ‘오늘의 시인총서’ 외에도 1986년 시작한 ‘민음의 시’ 시인선으로 최근 320호를 펴냈다. 문학동네도 2011년부터 ‘문학동네시인선’을 출간하며 최근 208호까지 이르렀다. 대형 출판사 외에도 ‘걷는사람 시인선’, ‘문학수첩 시인선’, ‘책만드는집 시인선’ 등 다양한 출판사가 시인선을 선보이고 있다.

한국의 시가 최근 세계 독자들의 마음에 가닿기 시작했다. 김혜순 시인의 ‘날개 환상통’이 지난달 미국에서 전미도서비평가협회상을 받은 것은 한국 현대시사(史)의 쾌거다. 문학과지성사에 따르면 문지시인선 시인 35명의 시집 86권이 현재 영어·독일어·프랑스어·일본어 등 세계 각국의 언어로 옮겨졌다.

2024-04-08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정치적 이슈에 대한 연예인들의 목소리
가수 아이유, 소녀시대 유리, 장범준 등 유명 연예인들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집회에 대한 지지 행동이 드러나면서 반응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연예인이 정치적인 이슈에 대해 직접적인 목소리는 내는 것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연예인도 국민이다. 그래서 이는 표현의 자유에 속한다.
대중에게 강력한 영향력을 미치는 연예인은 정치적 중립을 지켜야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