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운형의 일본行...상하이 임시정부 의견 분분했던 이유는

여운형의 일본行...상하이 임시정부 의견 분분했던 이유는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19-11-27 17:36
업데이트 2019-11-27 17: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몽양 도쿄연설 100년 기념 심포지엄...“임정 분열 사례” 주장

해방 직후 통일임시정부 수립을 주장하는 연설을 하는 몽양 여운형. 서울신문 DB
해방 직후 통일임시정부 수립을 주장하는 연설을 하는 몽양 여운형. 서울신문 DB
“내가 이번에 온 목적은 일본 당국자와 그 이 식자(識者)들을 만나 조선 독립운동의 진의를 말하고 일본 당국의 의견을 구하려고 하는 것이었다.”

100년 전이던 1919년 11월 27일, 몽양 여운형 선생은 일본 도쿄제국호텔에서 이렇게 연설을 시작했다. “나에게는 독립운동이 평생의 사업”이라고 밝힌 몽양은 “한인이 민족적 자각으로 자유와 평등을 요구하는 것은 신이 허락하는 바인데, 일본 정부가 이것을 방해할 무슨 권리가 있는가”라고 꾸짖었다.

1919년 3·1 만세운동에 놀란 일본 정부는 몽양을 독립운동 대열에서 이탈시켜 친일 자치주의자로 회유하고자 일본으로 초청했다. 그러나 34세 식민지 청년 독립운동가는 당당하게 조선 독립을 주장하며 오히려 일본 제국을 당혹스럽게 만들었다.

몽양의 연설은 그저 당당한 쾌거에만 그치지 않는다. 몽양의 100년 전 일본행이 임시정부의 급격한 독립운동 노선 분화를 예고하는 사례라는 주장이 나와 눈길을 끈다. 윤대원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연구원은 27일 도쿄 연설 100주년을 맞아 몽양여운형선생기념사업회가 연 ‘3·1운동의 대단원, 몽양 여운형 도쿄 제국호텔 연설’ 학술 심포지엄에서 이렇게 밝혔다.

윤 연구원은 1919년 11월 14일부터 12월 10일까지 4주간에 걸쳐 상하이 한인사회를 뜨겁게 달구었던 몽양의 도일 기사들을 통해 당시 임시정부 동향을 설명했다. 몽양의 도일이 상하이 한인사회에 알려진 것은 그가 떠난 다음 날이었다.

‘독립신문’은 11월 15일 “일본정부 당국자의 간청으로”, “여운형씨는 14일 오전 8시 발” 도일의 길에 올랐다고 전했다. 도일의 목적에 관해 “일본정부 당국에 대하여 독립운동에 대한 한족(韓族)의 의사를 설명함이요”라고 했으며, 도일의 의미에 관해서는 “순전히 개인의 자격으로 함이요 우리 정부와는 물론 내가 관계한 단체와도 상관이 없다”고도 했다. 상하이 임시정부 국무총리 이동휘는 “여씨 이하 2인의 차행(此行)은 순전히 단독적 행동이요 임시정부와는 아무 관계가 없다”는 포고 제1호를 반포하기도 했다. 여기에 신채호, 한위건, 원세훈, 옥관빈, 신국권 등이 몽양을 비판하는 선언문을 작성, 반포했다.

이에 반박해 곧바로 안창호의 측근인 이광수는 ‘독립신문’에 “공적 많고 유위(有爲)한 동지를 경솔히 공격하여 그 명예와 전도를 해함은 너무 각박 불인정한 일이고, 포고문은 총장도 차장들도 잘 모르는 국무총리 일인의 독단으로 함은 이해할 수 없다”며 비판했다.

세 차례의 국민대회가 이어지고, 반박과 재반박이 오갔지만, 조선 독립을 주장한 몽양의 연설 내용이 알려지고 몽양이 상하이로 돌아오며 파열음은 이내 잦아들었다. 윤 연구원은 이와 관련 “여운형 개인의 도일문제였지만 찬반 논쟁 과정에서 임시정부가 이후 급격한 독립운동 노선의 분화를 예고함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도일을 계기로 적극적으로 임시정부 특사로 소련 방문을 주장하고 상해 공산주의운동에 참여하게 되는 활동을 모색하는 계기가 됐다”고 강조했다.

이날 함께 기조발제한 미쓰이 다카시 도쿄대 총합문화연구과 교수는 몽양의 도쿄행이 일본 제국의 조선 통치 모순을 드러냈다고 설명했다. 일본이 ‘조선 자치’를 이유로 몽양을 초청했지만, 사실상 그럴 의도가 없었다는 뜻이다.

미쓰이 교수는 당시 일본 수상이었던 하라 다카시의 의견서 ‘조선통치사견’(1919) 등을 들어 “일본의 초청은 애당초 여운형의 배경에 있는 임정의 방침과는 맞지 않는 것이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와 관련 “제국호텔 연설에서 몽양이 조선의 ‘자유 독립’의 필요성을 당당히 말함으로써 결국 실패한 초청이었다. 여운형의 도쿄행이 가져온 효과는 일본 제국의 조선 통치 모순을 드러낸 것에 있다”고 강조했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