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시간에 따라 줄어든 조선왕릉… 3m 정도 축소

시간에 따라 줄어든 조선왕릉… 3m 정도 축소

류재민 기자
류재민 기자
입력 2023-02-21 23:36
업데이트 2023-02-21 23: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세종대왕과 소헌왕후 합장릉인 여주 영릉. 문화재청 제공
세종대왕과 소헌왕후 합장릉인 여주 영릉. 문화재청 제공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조선왕릉이 시간이 흐르면서 규모가 최대 3m 정도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는 21일 조선왕릉 40개소 61기의 봉분제도와 능침지반의 원형을 밝히기 위해 산릉의궤와 조선왕조실록 등 고문헌을 분석하고 3차원 입력(3D 스캔)과 현장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조선왕릉 봉분 및 능침지반 연구’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전했다.

조사 결과 조선 초기 왕릉의 지하 현궁(왕과 왕비의 관을 묻는 구덩이)은 대형석재로 넓은 석실을 만들어 봉분의 지름도 32∼35자(약 9856~1만 780㎜) 사이로 큰 것으로 확인됐다. 그러나 15세기 후반 이후로는 현궁을 대형석재 대신 회격(석회나 가는 모래, 황토 등을 이용해 만든 관)으로 조성하기 시작해 점차 봉분의 지름이 줄어들었다. 17세기 후반부터는 합장릉을 제외한 단릉 및 쌍릉, 삼연릉의 경우 봉분의 좌우지름과 봉분 사이 간격을 조절하면서 봉분 지름이 25자(약 7700㎜)까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미지 확대
조선왕릉의 지름 변화
조선왕릉의 지름 변화
봉분 주위의 석물에 따라 봉분의 지름도 변화했다. 흙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막는 병풍사대석을 갖춘 왕릉은 비교적 조성 당시의 봉분제도에 부합하나 봉분높이가 높아졌고, 난간석(봉분을 울타리처럼 두르고 있는 석물)만 갖춘 왕릉은 봉분의 지름은 넓어지고 높이는 낮아졌다. 봉분의 둘레와 지름을 지탱해줄 위요석물(봉분 주변에 설치된 석물 일체)이 없는 왕릉의 경우는 봉분의 하부지름은 넓어지고, 높이는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조선 초기에는 봉분 사방으로 미세한 경사면을 둬 곡장(무덤 뒤에 둘러 쌓은 나지막한 담) 주변으로 배수로, 배수구 등을 설치했으나 후기 들어서는 발달한 배수 체계를 조성했다는 점도 확인됐다. 궁능유적본부는 이번 보고서를 향후 봉분 및 능침지반 관리방안 및 정비계획 수립의 근거자료로 활용해 조선왕릉의 체계적 보존 관리에 힘쓸 예정이다.

류재민 기자
많이 본 뉴스
내가 바라는 국무총리는?
차기 국무총리에 대한 국민 관심이 뜨겁습니다. 차기 국무총리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대통령에게 쓴 소리 할 수 있는 인물
정치적 소통 능력이 뛰어난 인물
행정적으로 가장 유능한 인물
국가 혁신을 이끌 젊은 인물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