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걸음한의원 이병희 원장, 염증성 장질환에 대한 임상사례 논문 발표
이런 현실 속에서 한의사 이병희 씨가 크론병과 궤양성 대장염 등을 직접 연구하고 치료한 결과를 바탕으로 논문을 발표해 학계 및 환자를 비롯한 많은 이들로부터 관심을 끌고 있다. 최근 경희대학교에서 ‘염증성 장질환에 대한 한약치료: 체계적 문헌고찰 및 환자군 분석을 통한 진료 알고리즘 탐색’ 이라는 제목으로 학위논문을 출간(지도교수: 이향숙 박재우)한 한걸음 한의원 이병희 원장으로부터 이번 논문을 만든 계기와 의미, 앞으로의 계획 등에 대해 들어봤다.
우선 이번 논문으로 경희대학교 한의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신 것 축하드린다. 크론병과 궤양성대장염이란 무엇이며, 이 병을 주제로 논문을 쓰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
크론병은 입부터 항문까지 전체 소화기관에, 궤양성 대장염은 대장부위에만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이며 복통, 설사, 혈변, 소화불량, 체중감소 등이 주 증상이다. 국내에서는 의사들이 이 병을 치료할 때 한약을 먹으면 큰일이 날 것처럼 이야기하고 있는데 반해 외국에서는 현대의학으로 난치병인 염증성 장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한약을 병용하면서 다각도로 치료를 시도하고 있다는 것에 주목했다.
이는 중국, 영국, 독일, 이스라엘, 캐나다 등지에서 시행된 한약과 양약의 병용 임상 실험결과를 고찰하는 과정에서도 알 수 있었다. 분석결과 양약을 단독으로 사용할 때보다 한약을 병용해서 사용할 때 환자가 관해(寬解) 상태에 이를 확률이 크론병의 경우 67%, 궤양성대장염의 경우 22%가 더 높았다. 더욱이 양약 단독 사용에 비해서 관해 유도 확률이 유의미하게 더 높고 부작용의 발생빈도 또한 양약을 단독 사용했을 때와 비교해도 차이가 없었다는 점을 알리고 싶었다.
크론병과 궤양성 대장염 같은 염증성 장질환에 한약과 양약의 병용이 비교적 안전한 것으로 확인됐다는 사실이 앞으로의 환자 치료에 큰 도움이 될 것 같다. 관심이 있는 분들을 위해 좀 더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설명해 줄 수 있는지.
논문에도 있지만 크론병과 궤양성대장염 등의 염증성 장질환 환자분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77사례의 임상실험 결과로 말씀 드리겠다. 제가 한의사로 일하면서 치료한 이 분들은 평균연령 31.6세, 평균 유병기간 4.6년이었으며 이 중 81.8%가 양약을 복용 중이었다. 하지만 평균 9개월 가량의 한약치료를 통해 대부분의 환자가 호전돼 양약복용을 중단할 수 있었다. 또한 환자들은 크론병 CDAI 150점 미만, 궤양성 대장염 SCCAI 2.5점 이하로 국제적인 관해 기준을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복통, 설사, 혈변, 소화 불량 등의 제반 증상이 소실된 것을 의미한다. 논문에는 전후 내시경 자료가 확보된 환자의 내시경 사진도 실려 있다.
유병기간이 짧지 않았던 환자들의 상태를 호전시킨 것이 놀랍다. 여기에 그치지 않고 이 질환들에 대한 한의학적인 분류를 시도했다던데.
그렇다. 병명은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등으로 동일하다 할지라도 실제 임상실험에서 환자가 호소하는 세부적인 내용에는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환자 개개인에 따라 치료방법에 차이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 중요한 논점이다. 한의학에서는 이에 따른 변증분류가 가능하며, 통계적인 방법으로 이러한 이론이 유의미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한의학적인 분류를 시도한 결과 환자들은 증상과 사용된 처방에 따라 크게 부종 등의 증상이 함께 나타나는 수습형, 소화불량이 발생하는 상부소화기형, 비염증상을 동반하는 호흡기형, 배가 찬 증상을 보이는 한랭형, 변비나 잔변감이 발생하는 대장형 등으로 분류가 가능했다.
마지막으로 앞으로의 계획은.
이번 연구를 시작으로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등의 염증성장질환 치료에 한의학적인 접근이 필수적이라는 것이 알려짐으로써 관련 연구가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본다. 난치질환에 있어 한의적인 접근이 쉬운 일만은 아니지만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구를 진행해 논문을 발표할 것이다.
한걸음 한의원 이병희 원장이 발표한 논문은 2016년 3월부터 국립 중앙도서관, 국회도서관, 경희대 중앙도서관에서 열람 가능하며 온라인 열람은 해외학술지 투고 관계로 2017년 3월부터 가능하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