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철의 영화만화경] ‘사운드 오브 노이즈’

[이용철의 영화만화경] ‘사운드 오브 노이즈’

입력 2011-09-23 00:00
업데이트 2011-09-23 00: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유쾌한 음악 테러단에 박수를

‘한 도시와 여섯 드러머를 위한 음악’. 미국 작곡가 스티브 라이히의 현대음악 제목 같지만, 사실은 영화 ‘사운드 오브 노이즈’에서 유쾌한 음악 테러단이 연주하는 곡의 이름이다. 여섯 명의 타악기 연주자는 그들이 사는 도시가 따분하고 형편없는 음악으로 오염됐다고 여긴다. 그래서 일상의 공간으로 침입해 낯선 음악을 들려주기로 한다. 그들의 행동을 테러로 규정한 경찰은 아마데우스 반장에게 사건을 맡긴다. 명문 음악가 집안에서 태어난 그에게 이번 사건은 각별하다. 부모 형제와 달리 음악에 소질이 없었던 그는 음악을 증오하며 성장했던 것. 그는 현장에서 메트로놈을 발견하고 음악가를 범인으로 지목한다.

이미지 확대
스웨덴의 올라 시몬손·요하네스 슈테르네 닐슨은 10년 전 ‘한 아파트와 여섯 드러머를 위한 음악’이라는 단편영화를 발표했다. 여섯 사람이 다짜고짜 한 아파트에 들어가 부엌, 침실, 욕실, 거실을 무대로 연주하는 장면을 담은 코믹 영화다. ‘사운드 오브 노이즈’는 이 단편의 확장판이다. 여섯 배우가 그대로 출연했고, 네 공간과 네 번의 연주라는 룰 또한 전작과 마찬가지다. 단, 무대를 도시 전체로 넓힌 만큼 연주의 규모는 커졌으며 이야기는 아기자기함을 더했다.

음악영화와 범죄 드라마를 합친 두 감독의 시도는 참신하다. 평범한 음악영화에서 연주자는 음악으로 감동을 주는 인물이기 마련이다. 하지만 ‘사운드 오브 노이즈’의 여섯 연주자는 불가능한 임무를 수행하는 요원에 가깝다. 작전 계획을 짜고 준비하는 행동이 곧 리허설이고, 작전을 완수하듯 연주에 임한다. 그들이 병원, 은행, 음악 홀을 배경으로 벌이는 연주는 단순한 볼거리를 넘어 기상천외한 퍼포먼스라 부를 만하다. 그런 까닭에 귀가 즐거운 건 물론 눈과 머리가 덩달아 반응한다.

여섯 사람의 행동은 때때로 파괴적이고 과격하다. 그들의 무정부적 성향을 감안하면 당연한 일이다. 유별난 행동으로 음악 학교와 오케스트라 등에서 쫓겨난 그들은 퇴학당하거나 월세를 못 내는 게 뭐 대수냐고 항변한다. 연주 행위는 그들이 사회에 저항하는 방식이다.

자유 없는 예술은 무의미하다고 생각하는 그들이 세상을 악기로 삼아 펼치는 연주가 얌전하면 그게 이상한 거다. 흥겹게 춤을 출 수 없다면 무정부주의자의 혁명이 아니다. 중·후반부가 약간 지루하긴 해도 ‘사운드 오브 노이즈’는 근래 본 가장 신나는 영화다.

범죄물로서도 특이한 작품이다. ‘사운드 오브 노이즈’는 개와 고양이의 쫓고 쫓기는 관계를 그리지 않는다. 대신 쫓는 자에게 특이한 역사를 부여하고 그가 범죄에 동화되는 과정을 주목한다. 개와 고양이는 상대방을 알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극 중 서로를 이해하는 유일한 인물들이기도 하다. 특히 아마데우스는 악동들의 손이 스친 물건이 내는 소리를 듣지 못하게 된다. 음악을 비롯해 세상의 번잡한 소리를 싫어한 그가 마지막의 거대한 연주에 동참한다는 설정은 엉뚱하면서도 설득력을 지닌다. 극과 극은 그렇게 우연히 만나고 소통한다. ‘사운드 오브 노이즈’는 세상의 고요를 희망한 악당이 주인공인 동화일지도 모른다. 29일 개봉.

영화평론가

2011-09-23 1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