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원숭이두창 확진자 자료 사진. 한국과학기자협회 제공
질병관리청은 국내 최초 확진자인 30대 내국인과 접촉자는 지난 21일 이 확진자가 독일에서 귀국한 당시 여객기에 함께 탑승한 승객과 승무원 등 49명이라고 23일 밝혔다.
이 중 고위험 접촉자는 없고 중위험 접촉자 8명, 나머지 41명은 저위험 접촉자로 분류됐다.
고위험 접촉자는 보호장구를 미착용한 상태에서 확진자와 하루 이상 같이 있거나 확진자의 체액 등 잠재적 감염성 물질에 노출된 경우다.
이들은 능동감시를 하며 21일간 자가격리를 해야 한다. 중위험과 저위험 접촉자는 21일간 모니터링을 하지만 자가격리 의무는 없다.
질병관리청은 원숭이두창이 지역사회로 이미 퍼졌을 가능성에 대해 “비말 등이 주된 감염 경로인 코로나19와는 달리 확진자와 밀접 접촉한 경우가 아닌 국내 일반 인구에서의 전파 위험은 상대적으로 낮다”고 밝혔다.
다만 질병청은 “잠복기 중 입국하거나 검역단계에서는 증상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 향후 지역사회에서 감염된 환자가 나올 수도 있다”며 “국내에 입국한 의심환자를 놓치지 않고 진단하는 것이 우선 중요하다”고 말했다.
또 엄 교수는 “발진과 발열을 동반하는 질환들은 대부분 신고를 해야 하는 감염병인 경우가 대부분”이라며 “초기에 유입된 경우에는 잠복기가 지나가는 시기이니 놓치는 경우는 없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방역당국은 원숭이두창 의심 증상에도 자진신고하지 않은 외국인을 상대로 고발 여부를 검토 중이다. 지난 20일 입국한 외국인은 의심환자로 분류됐지만 최종 음성 판정을 받았다.
김채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