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시 대통령실은 일정을 재조정하고 있다고 밝혔지만 윤 대통령이 30여분 동안 대기하다가 발걸음을 옮겼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일각에서는 외교 결례라는 지적이 나왔다. 앞서 윤 대통령은 첫 일정으로 사울리 니니스퇴 핀란드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가질 예정이었으나, 이 일정도 취소됐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의전이 잘못된 게 아니냐’는 질문에 “정상적인 상황이라면 그런 논란이 있을 수는 있겠는데, 워낙 2개국의 나토 가입 문제 때문에 상황이 긴박하게 돌아갔다. 우리 쪽에 충분히 양해를 구하고 그렇게 했다”고 불가피한 사정이 벌어졌다고 설명했다. 이후 대통령실은 “스톨텐베르그 사무총장과의 면담이 30일 오후 3시로 재조정됐다”고 발표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악수하는 모습도 또다른 논란거리로 떠올랐다. 윤 대통령은 펠리페 6세 스페인 국왕이 주최해 모든 나토 정상회의 참석국이 모인 환영 갈라 만찬장에서 바이든 대통령을 보고 환하게 웃으며 악수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나토 총장 면담을 다시 진행하기로 하면서 일단락되긴 했지만, 이번 나토 무대는 한일 회담도 불발된 데다 한미일 정상회담을 포함한 유럽 나라들과 회담 대부분 매우 짧게 진행된 상견례 차원이라 특별한 결과를 만들 수 있겠느냐는 회의적인 평가가 나왔다.

▲ 윤석열 대통령이 29일 스페인 마드리드 이페마(IFEMA)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북대서양조약기구 동맹국·파트너국 정상회의에 앞서 참석자들과 대화하고 있다.-연합뉴스
대통령실은 윤석열 대통령의 이번 나토 정상회의 참석과 관련, “세 가지 목표를 기대 이상으달성했다”고 자평했다.
나토 정상회의 일정의 3가지 목표는 △가치규범 연대 △신흥안보 협력 강화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 등이었으며, 스페인 국왕 갈라 만찬에서 20여개 나라 정상과 인사를 나누면서 글로벌네트워크를 구축했다고 설명했다.
대통령실은 “모든 양자회담에서 윤 대통령에게 자국 방문 요청이 있었고, 윤 대통령도 상대국 정상이 한국을 방문해 협력 사항을 구체화하자고 약속했다”고 전했다.
김유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