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김택규의 문화 잠망경] 책은 대중의 허영인가/번역가

[김택규의 문화 잠망경] 책은 대중의 허영인가/번역가

입력 2022-12-04 20:32
업데이트 2022-12-05 00:4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김택규 번역가
김택규 번역가
5년 전 어느 중국 관련 학회에서 많은 학자를 청중으로 두고 중국어 출판 번역의 미래에 관해 발표할 기회가 있었다. 당시 나는 출판 시장의 위축과 웹툰·웹소설 시장의 활황을 근거로 향후 중국어 번역가의 절대다수가 웹툰·웹소설 번역가로 전향할 것이라고 예언했다. 학자들은 무척 흥미로워했으나 별로 실감하는 눈치는 아니었다. 한 노학자는 내게 “그래도 우리는 계속 고전 번역에 주력해야지”라고 훈계하듯 말했다.

그가 말한 ‘고전’은 대학 강단과 교양인들 사이에서 이미 ‘필독서’로 공인된 인문서와 순문학 작품들을 가리킨다. 나는 속으로 그와 다른 학자들이 대학이라는 온실 속에 오래 안주해 온 탓에 현장을 몰라도 한참 모른다고 비웃었다. 그러나 5년이 흘러 마침내 내 예언이 거의 실현되고 그것이 나 자신에게까지 초미의 현안이 돼 버린 지금에야 깨달았다. 사실은 당시 나 역시도 내 예언의 파국적인 의미를 제대로 실감하지 못했다는 것을.

지난 5년간 책이라는 매체는 대중 콘텐츠에서 ‘소중’(小衆) 콘텐츠로 착실히 자리를 옮겨 갔다. 책이 담아내던 고급 정보는 희석되고 요약돼 유튜브와 TV 교양프로로 넘어갔고 진작에 책이 독점권을 상실했던 서사물은 팬데믹 이후 한층 글로벌화된 영상플랫폼과 웹툰·웹소설 플랫폼에 의해 장악됐다. 물론 그럼에도 책이 가진 강점은 여전히 유효하긴 하다.

다양한 코드와 맥락을 때로는 논리정연하게, 때로는 비약적으로 텍스트화해 전개함으로써 우리를 더 깊은 성찰이나 다채로운 상상으로 인도하는 기능만큼은 다른 어떤 매체도 책을 따라잡지 못한다. 하지만 그 기능도 점점 더 대중의 몫에서 소중의 몫이 돼 가고 있으니 출판시장의 위축은 불가피한 추세라는 것을 인정할 수밖에 없다.

그래도 출판계의 입장에서는 가만히 말라죽을 수만은 없는 노릇이니 최대한 대안을 찾아야 한다. 어려운 지식을 대중교양서로 풀어 쓰기도 하고 분량을 대폭 줄인 ‘경장편’을 내기도 하고 세계명작전집을 홈쇼핑에서 염가로 팔기도 한다.

이런 전략들은 다행히(?) 아직도 남아 있는 ‘교양’이라는 대중의 허영에 의존한다. 여전히 많은 이가 책을 읽지 않으면서도 꼭 읽을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고 이력서의 취미란에 넷플릭스 보기나 모바일게임보다는 독서를 적어 넣고 싶어 한다. 그래서 아이들 방에 세계명작전집을 사서 꽂아 주고 시내로 나들이 갈 때마다 예쁘고 날렵한 책 한 권을 손에 드는 것을 잊지 않는다. 이러한 현대인의 허영심이 그나마 오늘날 책의 생명줄인 셈이다.

그러나 허영은 허영일 뿐이라 삶의 실질과는 거리가 멀어서 생존 그 자체가 절실한 때가 오면 가차 없이 버려질지 모른다. 아무래도 나는 그런 대중의 허영에 기생하며 살아온 생을 반성하고 좀더 실질적인 웹소설 번역 쪽으로 방향을 틀어야겠다.
2022-12-05 25면

많이 본 뉴스

22대 국회에 바라는 것은?
선거 뒤 국회가 가장 우선적으로 관심 가져야 할 사안은 무엇일까요.
경기 활성화
복지정책 강화
사회 갈등 완화
의료 공백 해결
정치 개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