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섯 명이 읽어도 꼭 필요한 책이라면 만들어주는 게 내 사명
지천명과 이순 사이 어디쯤, 얼굴에 모든 게 나타난다. 28년 가까이 출판 외길을 걸어온 박영률 커뮤니케이션북스 대표가 지난 22일 서울 마포구 연남동 사무실에서 자신만의 출판관, 독특한 인생 계획을 털어놓고 있다.
남상인 선임기자 sangin@seoul.co.kr
남상인 선임기자 sangin@seoul.co.kr
→직원들을 많이 괴롭힌다는 소리가 들리는데.
-직업 의식을 요구하는 것이다. 자부심이 있어야 한다. 직업 생활의 본질은 다른 사람에게 도움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더 바람직한 것은 상대가 생각하는 것보다 더 주는 것이다. 그래야 상대가 행복하고 욕구 충만이 된다. 그러려면 상품(노동력)의 질이 좋아야 되고 착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속이는 게 된다. 나에게 기대하는 것보다 높은 수준의 기술, 사고, 열정을 유지해야 한다. 이걸 만들어서 쓸 사람과 그가 이로 인해 기쁨을 느끼는 순간을 생각해야 한다.
→모든 책을 다 읽어 보나.
-그렇게는 못 한다. 내가 결정하는 것은 책의 출간 여부와 가격이다. 요약본을 꼼꼼히 들여다보고 출간을 결정하는 게 내 일이다.
→하루 일과를 얘기할 수 있나.
-매우 불규칙하다. 인트라넷으로 나나 직원들 모두 각자의 일정을 들여다보게 해놓았다. 내가 술을 얼마나 먹었는지도 다음날 직원들이 알게 된다. 나랑 미팅을 하고 싶으면 빈 시간에다 써넣으면 난 응해야 한다. 업무일지도 매일 쓰게 하는데 새벽 4시에도 댓글을 달곤 한다. 직원들이 잠은 언제 자냐고 하는데 지치면 자고, 안 지치면 안 자는 것이다.
→오디오북 나혜석의 ‘경희’를 잠깐 들어보았다. ‘시앗’이란 아름다운 우리말을 듣게 돼 반가우면서도 이 말 뜻을 모르는 이들을 위한 보완재가 있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아 그런가. 그냥 과거의 책들을 읽으면 단어들도 잘 모르고, 문장 어투도 굉장히 어색하다. 그래서 대부분의 출판사들은 이를 현대어로 고쳐서 낸다. 그렇지만 우리는 대부분의 한국문학을 초판본으로 내고 있어 굉장히 읽기 어렵다. 미국이나 유럽도 옛날 책들을 고쳐서 내거나 읽지 않는다, 조금 어려워도 이해가 가기 때문이다.
그에 반해 우리는 잊어버린 말들이 굉장히 많다. 한국어는 더 풍부해져야 한다. 특정 언어들만 과다 소비되고 나머지는 잊히고 있는데, 이러한 언어의 사양에 의해 우리의 사고는 굉장히 좁아진다. 그렇지만, 새로운 단어들을 만드는 것은 너무 어렵다. 따라서 신조어보다 우리가 잊어버린 말들을 사용하는 게 맞다. 그리고 단어에는 역사성이란 게 있기 때문에, 단어를 이해함으로써 그 때의 사회를 이해할 수 있다. 그 사람들이 그러한 사회구조와 사회의식을 받아들였기 때문이다.
우린 ‘문화번역’이란 표현을 쓰는데 번역할 때 웬만하면 그 사람들이 하는 말을 그냥 쓰자는 것이다. 그리고 독자들에게 이해를 돕기 위해 주를 단다. 번역자들이 그 단어에 대한 자신들의 경험을 주로 달고, 독자들이 그 단어의 문화적 의미를 이해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번역을 쉽게 하면 안 된다. 남의 나라 남의 문화 남의 역사를 본다면, 그들의 입장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그래야지만, 그 책이 전하려고 하는 것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출판계가 좁다 보니 이런저런 평판을 의식할 수밖에 없을 텐데.
-다품종 소량생산하는 출판사가 거의 우리밖에 없다. 기본적으로 모델이 다른데 무슨 말을 할 수 있겠나. 내가 망했으면 사람들이 그것 봐라, 뭐 그런 식으로 말할 텐데 잘해내고 있지 않은가. 요즘 들어 프린트 온디맨드, 퍼블리싱 온디맨드를 어떻게 하는 거냐고, 또 전자책은 잘 나가느냐고 여기저기 묻는 이들이 늘기는 한다.
→앞으로의 계획은.
-지금까지 우리가 낸 책 5000종과 앞으로 낼 책들이 무리 없이 섞여서 독자들이 자기가 원하는 감정, 자기가 원하는 사상을 책으로 읽고 싶을 때 우리가 그 수요를 만족스럽게 충족시키고 싶다.
→출판인으로서 입지를 다지기까지 지나온 시대를 돌아본다면.
-우린 굉장히 운이 좋은 세대라 할 수 있다. 빈곤으로부터 벗어나고, 우리가 어둠의 시대에 살고 있다는 것을 지각한 다음 그 어둠을 깨려고 운동을 열심히 했다고 생각한다. 운동했던 친구들, 나도 마찬가지고, 일신을 바쳐 역사와 민족에 도움이 되겠다고 했다. 그렇게 민주주의 시대를 열었다.
사람은 정치, 민주주의로만 살 수는 없고, 사회도 풍부해야 한다. 문화적으로 다양하고 경제적으로 풍요하며 사회적으로 평등해야 하는데 정치 투쟁의 방법과는 다르다고 생각한다. 질이 다른 문제의 해결은 질이 다른 해결법을 요구한다. 막 밀어붙이는 것은 사고의 태만이다. 외환위기가 다시 오지 않게 하고 가정이나 사회가 파괴되는 일을 막으려면 제대로 된 자립의 토대를 만들기 위해 연구해야 한다.
우리 세대는 과거나 미래의 어떤 세대보다 많은 기회를 가지고 태어났고, 앞으로 죽는 날까지 계속 새로운 인생을 살 수 있어 좋다.
→독특한 인생 설계를 일찌감치 완성했다고 들었다.
-죽을 날짜를 정해 놓았다. 3년 동안 고민하고 의료나 과학의 발전도 체크했다. 앞으로 살아갈 날들에 대한 방향과 계획, 목표가 있어야 하는데 목표를 정하려면 마감 시간이 있어야겠다고 봤다. 나의 마지막 날들에 대해 그림을 그려 놓았다. 한 달 전부터 곡기를 끊고 친구들과 술을 먹을 것이다. 죽는 방법도 구체적으로 정해 놓았다. 내가 죽는 날짜를 정해 놨다는 건 그날까지는 절대로 죽을 수 없다. 절대로, 열심히 살겠다는 뜻이기도 하다.
연말 장기자랑 우승자에게 건네진다는 왕복항공권
오디오북을 녹음하는 스튜디오
하이텔단말기를 비롯한 각종 애장품 전시대
작은 도서관을 연상케 하는 회의실
다양한 오브제들이 위치한 박 대표 책상 뒤편
오디오북을 녹음하는 스튜디오
하이텔단말기를 비롯한 각종 애장품 전시대
작은 도서관을 연상케 하는 회의실
다양한 오브제들이 위치한 박 대표 책상 뒤편
작은 도서관처럼 책 빼곡… 오디오북 스튜디오 갖춰
커뮤니케이션북스에 가보니
그의 왕국에 발을 들인 느낌이다. 출판사 내부는 온통 책들이 꽂힌 서가로만 구역이 나뉜다. 가히 작은 도서관을 연상케 한다. 기자가 찾은 시간에는 대략 서른이 채 안 되는 직원들이 골똘히 뭔가를 들여다보고 있었다. 오전 8시부터 오후 1시까지 집중근무 시간에는 전화 통화를 하는 일도 눈치 보이거나 나중에 지적당한다고 했다. 누군가의 육필 원고를 스캔하는 이도 있었고 오디오북을 만드는 스튜디오도 따로 있어 입구에는 ‘온 에어’(ON AIR) 신호가 들어와 있었다. 한쪽 벽에는 그의 얼굴이 지폐 속 위인처럼 들어 앉은 인천~런던 왕복 항공권이 붙어 있는데 연말 장기자랑 우승자에게 건네진다고 했다.
그의 사무실도 각별하다. 그 옛날(!) 하이텔단말기 예닐곱 대와 타이프라이터 등 정말 어디에서 구입했을까 싶은 소장품과 오브제들이 서가 건너편에 적당한 긴장감으로 자리하고 있다. 작업대라고 하는 게 나을 것 같은 책상 위에는 그 흔한 대표이사 명패도 없이 랩톱 컴퓨터 하나만 덩그러니 놓여 있다. 생각에 집중하겠다는 집념이 느껴졌다. 박 대표는 바퀴가 달리지 않은 보잘것없는 의자에 앉아 책상 건너편 널찍한 소파에 파묻히듯 앉은 기자와 얘기를 나눴다. 여느 인터뷰이와 달리 노트북에 뭔가를 쳐가며.
기자는 박 대표의 대학 학과 6년 후배라 80분 동안 편하게 얘기를 나눴다. 70분으로 추려 오디오파일을 싣는데 경어를 사용하지 않는 점을 너그러이 양해 바란다.
2015-12-25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