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부채가 중국 경제 위기의 뇌관으로 떠오르고 있다. 중국의 부채 규모가 우리나라를 비롯해 미국 유럽 등 과거 금융위기 당시 수준을 넘어 위험 수준에 바짝 다가섰다. 우리의 최대 수출국인 중국 경제의 구조적인 위험이 확대되면 한국 경제의 타격도 불가피할 전망이다.
블룸버그통신은 중국의 부채 규모가 4년 뒤인 오는 2020년쯤 폭발적으로 증가해 국내총생산(GDP) 대비 283%를 기록할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전망이 나왔다고 지난 2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12명의 이코노미스트들을 대상으로 중국 부채 문제에 대한 예측을 조사한 결과 12명 중 7명이 중국의 부채가 이르면 2019년쯤 정점에 도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4명은 2020년 또는 그 이후 정점을 찍을 것으로 예상했다. 이들 가운데 8명은 중국의 GDP 대비 부채 규모가 평균 283%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싱가포르 소재 캐피털 이코노믹스의 줄리언 에반스 프리처드는 중국 담당 이코노미스트는 “2020년 이전에 (중국)부채 비율이 정점에 도달할 것같지는 않다”며 “우리 모델에 따르면 2024년에 정점을 찍을 듯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만약 중국 정책 결정자들이 적절한 구조 개혁을 단행하지 않는다면 부채 비율은 그 이후에도 더 오를 수있다”고 내다봤다.
이에 앞서 뉴욕타임스(NYT)도 중국의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부채 규모가 중국 경제는 물론 세계 경제의 발목을 잡을 것으로 경고했다. 홍콩 주재 금융연구 기관인 오토노머스 리서치에 따르면 중국은 올해 말쯤 30조 달러(약 3경 7005조원) 정도의 여신 및 금융자산을 보유하게 된다. 이는 7년 전에 비해 9조 달러 정도 늘어난 규모다. ‘오토노머스 리서치’의 찰린 추 금융분석가는 “세계 어느 곳에서도 이처럼 짧은 기간 동안 그렇게 엄청난 규모로 여신이 늘어난 사례는 없다”며 “이는 결국 직간접적으로 전 세계 모든 금융상품의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추는 올해 말 쯤 중국 금융기관 여신의 22%는 이자를 받지 못하는 부실 상태로 떨어질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중국의 이런 악성채무와 부실 금융자산의 규모는 2조 6000억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실질적인 손실 규모가 많게는 4조 4000억 달러까지도 늘어날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5조 달러대의 손실을 예상하기도 한다고 NYT는 전했다.
현대연구원도 24일 펴낸 ‘중국의 부채 구조와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중국의 지난해 2분기 국내총생산(GDP) 대비 부채(가계+기업+정부) 비율은 243.7%에 이른다. 지난 2008년 당시 금융위기를 맞았던 미국(230.9%·2008년 1분기 기준)과 EU(228.2%·2008년 3분기 기준) 수준을 상회하는 것이다. 1997년 외환위기를 맞았던 우리나라(169.2%)에 비교해봐도 더 높다. 중국의 부채는 최근 들어 더욱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2009~2014년 중국의 부채 규모는 연평균 19.7% 증가함에 따라 2009년 63조 위안에서 2014년 154조 8000억 위안(약 2경 9224조원)으로 두 배 이상 급증한 것이다.
기업 부채는 제조업과 부동산업을 중심으로 빠르게 증가하면서 2014년 기준 GDP 대비 162%까지 올랐다. 중국과 해외의 금리차이가 줄어들면서 기업들이 해외에서 차입하는 자금이 늘어난 까닭이다. 2014년 4분기 5조 1400억 위안이던 중국 기업의 외채는 2015년 들어 9조 위안을 넘긴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중국 정부가 올해 기업구조조정에 속도를 낸다면 중국 경제가 급락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부채발(發) 리스크가 금융시장과 실물경제까지 전이될 경우 우리의 대(對)중국 수출은 직격탄을 맞을 가능성이 있다. 천용찬 현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한·중 FTA 등을 적극 활용해 서비스 수출 등 새 전략을 강구해야 한다”면서 “중국의 구조조정 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돌발 위험에 대비한 금융시장 안전판도 강화해야 한다”고 했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싱가포르 소재 캐피털 이코노믹스의 줄리언 에반스 프리처드는 중국 담당 이코노미스트는 “2020년 이전에 (중국)부채 비율이 정점에 도달할 것같지는 않다”며 “우리 모델에 따르면 2024년에 정점을 찍을 듯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만약 중국 정책 결정자들이 적절한 구조 개혁을 단행하지 않는다면 부채 비율은 그 이후에도 더 오를 수있다”고 내다봤다.
이에 앞서 뉴욕타임스(NYT)도 중국의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부채 규모가 중국 경제는 물론 세계 경제의 발목을 잡을 것으로 경고했다. 홍콩 주재 금융연구 기관인 오토노머스 리서치에 따르면 중국은 올해 말쯤 30조 달러(약 3경 7005조원) 정도의 여신 및 금융자산을 보유하게 된다. 이는 7년 전에 비해 9조 달러 정도 늘어난 규모다. ‘오토노머스 리서치’의 찰린 추 금융분석가는 “세계 어느 곳에서도 이처럼 짧은 기간 동안 그렇게 엄청난 규모로 여신이 늘어난 사례는 없다”며 “이는 결국 직간접적으로 전 세계 모든 금융상품의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추는 올해 말 쯤 중국 금융기관 여신의 22%는 이자를 받지 못하는 부실 상태로 떨어질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중국의 이런 악성채무와 부실 금융자산의 규모는 2조 6000억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실질적인 손실 규모가 많게는 4조 4000억 달러까지도 늘어날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5조 달러대의 손실을 예상하기도 한다고 NYT는 전했다.
현대연구원도 24일 펴낸 ‘중국의 부채 구조와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중국의 지난해 2분기 국내총생산(GDP) 대비 부채(가계+기업+정부) 비율은 243.7%에 이른다. 지난 2008년 당시 금융위기를 맞았던 미국(230.9%·2008년 1분기 기준)과 EU(228.2%·2008년 3분기 기준) 수준을 상회하는 것이다. 1997년 외환위기를 맞았던 우리나라(169.2%)에 비교해봐도 더 높다. 중국의 부채는 최근 들어 더욱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2009~2014년 중국의 부채 규모는 연평균 19.7% 증가함에 따라 2009년 63조 위안에서 2014년 154조 8000억 위안(약 2경 9224조원)으로 두 배 이상 급증한 것이다.
기업 부채는 제조업과 부동산업을 중심으로 빠르게 증가하면서 2014년 기준 GDP 대비 162%까지 올랐다. 중국과 해외의 금리차이가 줄어들면서 기업들이 해외에서 차입하는 자금이 늘어난 까닭이다. 2014년 4분기 5조 1400억 위안이던 중국 기업의 외채는 2015년 들어 9조 위안을 넘긴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중국 정부가 올해 기업구조조정에 속도를 낸다면 중국 경제가 급락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부채발(發) 리스크가 금융시장과 실물경제까지 전이될 경우 우리의 대(對)중국 수출은 직격탄을 맞을 가능성이 있다. 천용찬 현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한·중 FTA 등을 적극 활용해 서비스 수출 등 새 전략을 강구해야 한다”면서 “중국의 구조조정 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돌발 위험에 대비한 금융시장 안전판도 강화해야 한다”고 했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