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은 힐링중] 점·굿 → 주역·불교·기독교→ 페이스북·아고라… ‘힐링’ 방식의 진화

[대한민국은 힐링중] 점·굿 → 주역·불교·기독교→ 페이스북·아고라… ‘힐링’ 방식의 진화

입력 2012-08-18 00:00
업데이트 2012-08-18 00: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힐링 현상은 갑자기 튀어나온 것이 아니다. 벼락이 치면 신이 분노했다고 생각하던 선사시대부터 마음의 치유와 위로는 방법과 모양을 달리하면서, 인류 역사와 함께했다.

●성인 60% “위안 받고 걱정 줄이려 운세 본다”

초기 무당의 신점(神占) 형태에서 주역이나 불교, 기독교 등으로 확장했다. 기독교나 불교, 유교 신봉자들은 “미신들을 가지고 치유와 위로를 논하느냐.”고 발끈할 수도 있겠다. 시장조사 전문기관 엠브레인트렌드모니터가 지난 3월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를 보면, 운세를 보는 이유로 응답자의 59.7%가 ‘마음의 위안·걱정 감소’를 꼽았다. 불확실성의 해소(14.7%), 미래를 위한 준비(11.5%)보다 4배 이상 많다. 중복 응답으로 전환하면 무려 92.6%로 껑충 뛴다. 이 정도면 점쟁이들이 자신을 ‘인생 카운슬러’라고 할 만하다.

한국의 전통적인 치유와 위로의 방법에는 ‘굿’이 있다. 굿을 주제로 ‘힐링 페스티벌’을 기획한 무천문화연구소 측은 “우린 민족 고유의 전통인 굿에는 몸과 마음을 치유해 주는 힐링 기능이 원초적으로 내재돼 있다.”고 설명한다. 하늘에 마을의 평화를 비는 동제(洞祭), 마을 사람들의 반목을 털어내고 상생을 도모하는 대동굿, 죽은 사람을 극락으로 인도하는 오구굿·씻김굿 등은 전국적으로 행해진 치유와 위로였다. 이해가 안 된다면 박기복 감독의 영화 ‘영매-산 자와 죽은 자의 화해’(2003)를 추천한다. 사고로 세상을 떠난 큰아들을 마음에 짐처럼 품고 있던 여인이 지노귀굿을 하면서 큰아들 혼령과 이야기하는 장면이 나온다. 진짜 아들의 영혼이 아니라 무당의 연기였다고? 상관없다. “엄마, 나는 괜찮아.”라는 말이 무당의 입에서 떨어지자 여인이 통곡하면서 마음의 안정을 찾아가는 것을 보면 굿의 힐링 기능을 깨닫게 된다.

●정보통신 발전으로 SNS가 치유의 장으로

정보통신의 발전으로 힐링의 방식도 달라지고 있다. 시집 문제와 육아의 어려움 등으로 끙끙대던 사람들은 ‘미즈넷’에서 속내를 털어놓고, 불합리한 정치와 사회 구조에 답답해하던 사람들은 ‘아고라’를 찾았다. 특히 에번 윌리엄스와 마크 저커버그가 각각 트위터와 페이스북을 만들면서 치유와 위로의 장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로 옮겨가고 있다. 같은 생각과 고민을 갖는 사람들과 친구를 맺고 “이들도 나와 같은 고민을 하고 있구나.”라는 위로를 얻는다.

미국 하버드대 심리학부의 다이애나 타미르 박사팀은 “많은 사람이 트위터·페이스북 등 SNS에 사생활을 표현하고 자신에 관한 이야기를 하면서 보상받는 듯한 느낌을 받는다.”고 분석하기도 했다.

최여경기자 kid@seoul.co.kr

2012-08-18 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