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독 반려캣] 9㎝ 키·49회 복제 기네스북 두 번 오른 치와와예요 멍멍!

[반려독 반려캣] 9㎝ 키·49회 복제 기네스북 두 번 오른 치와와예요 멍멍!

윤태희 기자
입력 2018-07-19 21:08
업데이트 2018-07-19 21: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세계에서 가장 작은 개’로 기네스북에 오른 치와와 한 마리가 또 다른 세계기록을 보유하게 됐다.
이미지 확대
출처 기네스북
출처 기네스북
최근 영국 텔레그래프 등 해외언론에 따르면 치와와 종인 ‘밀리’가 총 49차례 복제돼 ´세계에서 가장 많이 복제된 개´라는 타이틀을 얻게 됐다고 보도했다.

현재 미국 플로리다주에 살고 있는 밀리는 2011년 태어났을 때의 몸무게가 42g, 몸길이는 7.6㎝밖에 되지 않았다. 당초 전문가들은 밀리의 몸집이 너무 작아 오래 살지 못할 것이라고 예상했으나 주인 버네사 세믈러의 헌신 덕에 예상을 비웃듯 건강하게 자랐다.

세계에서 가장 작은 개라는 기네스북 타이틀을 얻은 것은 2013년으로 당시 밀리의 몸무게는 453g, 몸길이는 9.65㎝였다.

이번에 세계에서 가장 많이 복제된 개라는 특이한 타이틀을 얻게된 계기는 우리나라의 수암바이오텍(수암생명공학연구원) 덕이다. 황우석 박사가 주도하는 수암바이오텍에서 밀리가 작은 몸집을 갖게 된 유전적 비밀을 알고 싶다며 무료로 복제 개 제안을 한 것. 이에 세믈러는 고심 끝에 복제 개 제안을 받아들여 세계 최초의 복제 양 ‘돌리’가 만들어진 것과 같은 방식으로 총 49마리의 복제 개가 태어났다. 이 방식은 밀리의 체세포에서 채취한 유전자를 다른 개의 난세포(유전자 제거)에 주입해 이를 대리모 개의 몸에 넣는 것이다.

세믈러는 “처음에는 복제 개를 총 10마리 낳으려고 했으나 계획이 변경됐다”면서 “총 49마리의 복제 개 중 12마리를 우리집에서 기르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12마리 복제 개 모두 밀리처럼 영리하고 장난기가 많으며 눈동자는 물론 체모 색상까지 똑같다”면서 “이 중 밀리가 좀더 개성적이다.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복제 기술이 발전하더라도 밀리와 완전히 똑같은 개를 만들 수는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2018-07-20 3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