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들 적극 참여해야 정부 지원 예산 더 는다”

“노인들 적극 참여해야 정부 지원 예산 더 는다”

입력 2011-07-04 00:00
업데이트 2011-07-04 00: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미혜 이대 사회복지전문대학원장

이미지 확대
김미혜 이대 사회복지전문대학원장
김미혜 이대 사회복지전문대학원장
노인 복지 전문가인 김미혜 이화여대 사회복지전문대학원장은 노인 여가 활동 활성화에 대해 “노인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새로운 시너지 효과를 창출한다.”고 말했다. 김 원장은 “65세 이상 노인들은 먹고살기 바쁜 시대에 주로 활동했기 때문에 여가라는 개념조차 없었다.”면서 “하지만 노인들이 움츠리기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앞으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 더 많은 예산과 프로그램을 요구할 수 있게 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노인들도 다음 세대를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진지하게 고민을 해야 한다.”면서 “노인 여가 프로그램을 활성화하면 다음 세대도 건강하고 즐겁게 나눌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기 때문에 이들에게 선택의 길을 만들어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중·장년층 가운데 직장에서 은퇴하면 활력을 잃고 의욕을 상실하는 사례가 많다. 퇴직 전 노년기 여가 프로그램을 준비하지 않았기 때문에 뒤늦게 참여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된다. 김 원장은 현재 ‘베이비붐 세대’가 이런 상황에 놓여 있어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예비 노인’으로 불리는 55세 이하 중·장년층은 장년기에 여가를 즐길 수 있는 상황을 맞았지만 일에 치여 살다 보니 65세 이상 노인과 마찬가지로 여가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해보지 않은 분들이 많다.”면서 “전 세대보다 크게 달라진 것이 없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여가를 단순히 ‘노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노인들도 많다. 하지만 김 원장은 ‘같이 하는 것’이라고 표현했다. 처음에는 사회복지사의 도움을 받아 활동하겠지만 시간이 지나면 다른 노인을 이끌어주는 동반자 역할을 하게 된다는 것이다. 특히 독거 노인은 무료로 참여할 수 있는 복지관·경로당의 여가 프로그램에 참여할 경우 신체 건강은 물론 우울증 해소 등의 정신건강 회복 효과도 노릴 수 있다는 것이 김 원장의 설명이다. 그는 “모임을 통해 몸을 움직이다 보면 정보도 얻게 되고 건강도 되찾게 된다.”면서 “부수적인 효과가 다양하기 때문에 여가 프로그램은 건강 프로그램과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그는 또 “독거 노인이 혼자 처음부터 프로그램에 적응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사회복지사들이 도움을 많이 줘야 한다.”고 조언했다.

정현용기자 junghy77@seoul.co.kr

2011-07-04 13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