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규모 ‘오타 꽃 시장’…유찰없어 국화 200송이 1엔에도 경매

최대규모 ‘오타 꽃 시장’…유찰없어 국화 200송이 1엔에도 경매

입력 2011-06-15 00:00
업데이트 2011-06-15 00: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꽃 냉장상태 수출 ‘신선함’ 강점

지난 3일 오전 7시에 찾은 일본 도쿄 오타구 ‘오타 꽃 시장’에는 지난 3월 동일본 대지진의 상흔이 곳곳에 남아 있었다. 일본 최대 꽃 경매 업체인 ‘오타 화훼’의 준 우에다(58) 실장은 “지진 이후 30엔(약 400원)짜리 튤립 1송이가 1엔(약 13원)에 거래되기도 했다.”면서 “이후에는 한국이나 말레이시아 등 수출국들이 일본의 꽃 소비가 줄어들 것이라고 예측해 수출 물량을 줄이는 바람에 품귀현상을 겪기도 했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오타화훼경매시장에서 경매사들이 꽃을 중도매인들에게 보여 주면서 흥정을 붙이고 있다.
오타화훼경매시장에서 경매사들이 꽃을 중도매인들에게 보여 주면서 흥정을 붙이고 있다.


오타 꽃 시장은 일본 전역 160개 시장 중 가장 큰 시장으로 경매 규모 1위 업체인 오타 화훼와 3위인 FAJ(Flower Action Japan)가 입점해 있다. 일본은 지자체가 제공하는 하나의 시장에 2개 경매 업체를 입점시켜 경쟁 구도를 만든다.

대지진이 난 지난 3월 11일부터 19일까지 하루 경매 규모는 지난해 같은 기간의 30% 수준인 9000만엔(약 12억원)으로 줄어들었다. 가격도 폭락했으나 수요 감소보다는 지진이 난 도호쿠 지역 경매장으로 보내려던 꽃이 모두 도쿄로 몰린 탓이 크다.

게다가 일본 화훼 경매는 우리나라와 달리 유찰이 없다. 아무리 낮은 가격이라도 파는 것이 농가에 대한 경매업체의 책임이라고 믿기 때문이다. 따라서 꽃 가격은 폭락을 거듭할 수밖에 없었다. 국화 10박스(박스당 20송이)가 1엔(약 1300원)에 거래되는 진기록도 나왔다. 1주일 후 물류는 회복됐지만 이번에는 수출국의 선입견이 문제였다. 졸업식이나 입학식 등이 연기됐을 것으로 보고 물량을 러시아로 돌리거나 자국 내 소비처 확보에 나선 것이다. 한 수입업자는 “최고 꽃 판매 시즌인 3월에 꽃이 없어 못 파는 경우가 많이 생겼다.”면서 “졸업식을 조용하게 하기는 했지만 도호쿠 지역 외에는 정상적으로 열렸기 때문에 수요는 거의 변함이 없었다.”고 말했다.

일본에서 말하는 우리나라 꽃의 가장 큰 강점은 제주도부터 경기도까지 기후가 다양해 일본에 연중 고른 수출이 가능하다는 것. 특히 경쟁국인 말레이시아나 콜롬비아가 냉장 유통이 안 되는 항공편을 이용하는 것과 달리 우리나라는 냉장 페리를 이용해 바닷길로 꽃을 운반할 수 있기 때문에 신선함을 유지하는 데 유리하다.

최근 고령화로 일본 내의 꽃 생산량이 줄고 엔화 가치가 높아지면서 우리나라에서 수입하는 양이 조금씩 늘고 있다. 일본 내 꽃 생산량은 2005년 18억 6900만 송이에서 2009년 17억 3100만 송이로 7.4% 하락했다. 지난해 일본의 수입국 중 우리나라는 6위를 기록했지만 아쉬운 부분도 있다.

스기야마 스스무(65) 일본화훼수출협회 부회장은 “한국이 일본과 가깝다는 지리적 이점을 고려할 때 무게가 무거운 백합 등을 중심으로 수출을 하는 것이 다른 나라에 비해 경쟁력이 있을 것”이라면서 “하지만 한국 내 수요가 많아 가격이 높으면 물량을 국내로 돌리고 국내 수요가 없을 때 주로 수출하는 전략은 장기적 관점에서 고정 고객을 잃을 수 있다.”고 조언했다.

글 사진 도쿄·오사카 이경주기자

kdlrudwn@seoul.co.kr
2011-06-15 2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