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의 향연-옛 선비들의 블로그] 75권 방대함에도 문체 수려… 외교 현장 생생한 사신 기행록

[고전의 향연-옛 선비들의 블로그] 75권 방대함에도 문체 수려… 외교 현장 생생한 사신 기행록

입력 2018-09-17 17:54
업데이트 2018-09-17 18: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월사집은

임진왜란 이전에 지은 원고는 모두 전란의 와중에 분실됐지만 이정귀의 ‘월사집’은 원집 68권(부록 5권 포함), 별집 7권, 도합 75권의 방대한 분량으로 거의 모든 문체를 망라해 장관을 이룬다. 이정귀는 중국에서 사신들이 올 때마다 접반(接伴)했으며, 중국에 사신으로 세 차례나 다녀왔으므로 시와 산문 모두 사행(使行) 중에 지은 것들이 많고 또한 볼만하다.
이미지 확대
월사집’ 7책 표지.
월사집’ 7책 표지.
시들 중 ‘조천록’(朝天錄), ‘빈접록’(接錄)과 같은 제목으로 묶여 있는 것들은 제목이 말해주듯 모두 일종의 기행록이다. 산문 기행록 중 ‘경신조천기사’(庚申朝天紀事)는 당시 생생한 외교 현장과 함께, 중국 황제 신종이 서거하고 광종이 즉위할 때 중국 조정의 모습을 잘 보여 준다. 이 밖에 요령성에 있는 천산과 의무려산, 산해관에 있는 각산사를 답사하고 지은 ‘유천산기’(遊千山記), ‘유각산사기’(遊角山寺記), ‘유의무려산기’(遊醫巫閭山記)는 특히 볼만하다. 후대 연행록(燕行錄)에도 끼친 영향이 크다. 모두 오늘날 중국을 여행하는 사람들이 미리 읽어둠 직한 글들이다.

이 밖에 시집 중 ‘폐축록’(廢逐錄), ‘권응록’(倦應錄)에서는 윤근수, 신흠, 장유, 권필, 김상헌 등 당대 최고 문사들과 주고받은 수준 높은 작품들을 감상할 수 있다.



2018-09-18 22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