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주영 산업硏 연구위원 주제발표
20년 뒤 보건·의료 산업 성장 전망
취업자 수도 도소매업 넘어설 듯
고령화, 전기·전자 생산엔 악영향
김주영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이 20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2024 서울신문 인구포럼에서 인구절벽이란 절체절명의 국가적 과제를 풀기 위해 머리를 맞댔다.
도준석 전문기자
도준석 전문기자
20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2024 서울신문 인구포럼 중 ‘인구구조 변화가 산업에 미치는 영향’이란 제목의 주제발표자로 나선 김주영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고령화로 우리 산업의 저부가가치 부문 비중이 확대되고 고부가가치 비중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적절한 정책 개입 없이는 저성장 균형이 고착화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통계청의 장래 가구 추계를 보면 39세 이하 가구 비중은 2017년 23.6%에서 2045년 13.6%로 급감한다. 60세 이상 가구 비중은 같은 기간 29.8%에서 57.8%로 2배 가까이 늘어난다. 인구구조 변화는 산업에 즉각적인 영향을 준다.
김 연구위원은 고령화가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생산 측면과 소비 측면으로 나눠 분석했다. 먼저 생산 측면을 보면 고령화는 생산 3요소(자본, 노동, 총요소생산성) 모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그중 노동 증가율에 가장 큰 타격을 준다. 업종별로 들여다보면 종사자 평균연령이 낮은 업종일수록 생산에 부정적 영향을 받는다. 전기·전자, 기계·장비 업종이 대표적이다. 반면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김 연구위원은 “고령화에 따라 고용이 유의미한 폭으로 증가할 수 있는 분야가 보건·사회복지서비스, 그중에서도 돌봄서비스 쪽으로 예상된다”며 “그런데 돌봄서비스는 상대적으로 저부가가치 산업”이라고 지적했다. 보건·사회복지서비스 취업자 수는 현재 1위 업종인 도소매업을 수년 내 따라잡을 것으로 김 연구위원은 전망했다.
소비 측면을 보면 전체 소비는 고령화 영향으로 2030년에서 2045년 사이 거의 모든 분야에서 위축된다. 다만 보건과 식료품·비주류음료만 각각 0.36%, 0.27%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김 연구위원은 “고령층이 많아지면 자녀의 학교 졸업으로 교육비를 적게 쓰지만 병원에 더 자주 가고, 외식보다는 마트에서의 식료품 지출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그는 “생산과 소비를 종합하면 고령화로 저부가가치 부문 비중은 커지고, 특정 항목을 제외한 소비지출은 둔화 혹은 감소한다”며 “내수 둔화 만회를 위한 수출 중요성이 강조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2024-06-21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