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 인맥 대해부 (2부)후계 경영인의 명암 <24>두산그룹] “사람이 미래다”… 내·외부 출신 능력 위주 기용

[재계 인맥 대해부 (2부)후계 경영인의 명암 <24>두산그룹] “사람이 미래다”… 내·외부 출신 능력 위주 기용

김진아 기자
김진아 기자
입력 2015-02-12 00:30
업데이트 2015-02-12 03: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장수기업 두산의 CEO들

‘사람이 미래다’라는 두산그룹의 광고 문구처럼 두산그룹이 오랫동안 장수할 수 있었던 비결은 ‘인재발굴’에 있다. 내부 출신, 외부 출신, 내·외국인을 가리지 않고 능력이 있다면 누구라도 기용해 실력 발휘를 할 수 있도록 기회를 주고 있다.

전문경영인 가운데 대표적인 인물은 정지택(65) 두산중공업 부회장이다. 정 부회장은 경제 관료 출신이다.

행정고시 17회로 공직에 입문한 그는 재정경제원 정책심의관, 기획예산위원회 재정개혁단 단장, 기획예산처 예산관리국 국장 등을 두루 역임했고 24년간의 공직생활을 마친 뒤 2001년부터 두산그룹에 합류했다. 두산 전략기획본부 사장, 네오플럭스캐피탈 사장, 두산 테크팩 부문 사장, 두산산업개발 사장, 두산건설 사장 등을 역임하다 2008년부터 두산중공업 부회장을 맡고 있다.

두산 사업부문을 이끌고 있는 제임스 비모스키(61) 부회장은 그룹 최초의 외국인 최고경영자(CEO)다. 그는 매킨지에서 24년간 경영컨설턴트로 활동하고 말레이시아 서던뱅크 수석 부행장을 역임한 뒤 2006년 두산에 합류했다.

손동연(57) 두산인프라코어 사장은 대표적인 엔지니어 출신 전문경영인이다. 2012년 3월 두산인프라코어 합류 전까지 대우자동차 수석연구원, GM코리아 기술연구소장 등을 지냈다. 기술경쟁력을 기반으로 경쟁과 트렌드 변화가 심한 글로벌 시장에서 선도적 위치를 차지하겠다는 의지가 담긴 발탁 인사다. 공정 혁신 등의 분야 외에도 경영 전반에서 뛰어난 리더십을 보인다는 평을 받는다.

양희선(61) 두산건설 사장은 직장 생활을 두산에서 시작한 두산토박이다. 그는 1981년 두산건설로 입사해 두산인프라코어 부사장과 엔셰이퍼 부사장을 거쳐 2013년 5월 두산건설 대표이사로 선임됐다.

두산건설은 부동산 경기 침체로 자금난이 우려됐지만 매출채권 회수와 수익성 중심의 사업 운영 등으로 수익구조를 개선했다. 그 결과 두산건설의 지난해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2조 3639억원, 1403억원으로 전년 대비 0.4%, 149.2% 증가하면서 우려를 불식시켰다.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2015-02-12 18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