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집힌 일상, 다르게 산다

입력 2020-07-19 22:10
업데이트 2020-07-20 03: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코로나19 시대, 여러분은 어떤 단어들이 떠오르십니까. 아무래도 밝은 단어보다는 우울한 단어가 많으시죠. 그래도 우리 모두가 방역 수칙을 잘 지키고 서로를 위해 배려한다면 코로나19 위기도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 믿습니다. 서울신문은 1부 ‘코로나가 바꾼 세상’에 이어 2부 ‘언택트 시대의 시민권’에 대해 심층 조명합니다. 사각지대에 놓인 사람들과 국민의 기본권리에 대해 더욱 관심을 갖자는 취지입니다.

[가로 문제]

1. 왕관이라는 뜻의 라틴어. 지난 1월 20일 우리나라에 유입된 바이러스 이름.

4. ‘사회적 ○○○○’에 적극 동참하고 계시죠? 그러나 마음은 서로 더 가깝게.

[세로 문제]

2. 이제는 식당 등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풍경. 감염 예방을 위해 실천합시다.

3. 가족과 친구 등으로부터 ○○되는 것은 힘들지만 타인을 위해 수칙 잘 지켜 주세요.
2020-07-20 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