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청년 빈곤 리포트-D급 청춘을 위하여] 프랑스 청년 실업률 20.2%…좋은 학위·인맥 없으면 정규직 일자리 어려워 구직 포기자 속출

[2018 청년 빈곤 리포트-D급 청춘을 위하여] 프랑스 청년 실업률 20.2%…좋은 학위·인맥 없으면 정규직 일자리 어려워 구직 포기자 속출

이성원 기자
입력 2018-10-30 21:56
업데이트 2018-10-30 22: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청년빈곤은 전 세계 공통의 문제입니다. ‘헬조선’을 떠나 프랑스로 온다고 해결될 문제는 아니라는 거죠. 프랑스 역시 청년 일자리가 줄어들고 있고, 첫 직장을 구하기 어려운 청년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미지 확대
롤라 멜 프랑스 ‘ZOC’ 전국회장
롤라 멜 프랑스 ‘ZOC’ 전국회장
지난 8월 프랑스의 청년(15~24세) 실업률은 20.2%를 기록했다. 구직 의사가 있는 청년 5명 중 1명은 일자리를 구하지 못하고 있다는 의미다. 같은 달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평균 청년실업률(11.0%)과 한국의 청년실업률(12.5%)과 비교해 봐도 두 배 가까이 높다. 사회복지가 탄탄한 국가라는 인식 때문에 청년빈곤은 거의 없을 것 같지만, 실상은 녹록지 않다. 서울신문은 지난달 4일 프랑스 파리에 있는 기독교 빈민 청년단체 ‘ZOC’ 사무실에서 롤라 멜(27·여) 전국회장을 만나 프랑스 청년들의 빈곤 실상에 대해 들어봤다.

멜 회장은 특히 청년들이 첫 직장을 구하는 게 어려워졌다고 했다. 프랑스 내 기업들이 정규직 직원을 채용할 때 처음부터 완벽한 구직자를 원하는 탓이다. 정규직 일자리를 구하려면 인턴 경험이 많아야 하는데, 인턴 채용은 지인을 통해 알음알음 구하는 방식이라, 좋은 학위와 인맥이 없는 대부분의 청년들은 정규직을 구하기 어려운 구조라고 토로했다. 멜 회장은 “한국에서 흔히 말하는 ‘흙수저’처럼 지인 네트워크가 없는 청년은 정규직 일자리를 구할 수 없는 구조”라고 면서 “청년실업률은 20%대로 집계되지만, 사회적 네트워크가 빈약한 이민자 출신들이 많이 사는 곳의 청년실업률은 40%대가 넘는다”고 덧붙였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아예 구직을 포기하는 청년도 적지 않다. 일자리가 없으면서 교육과 직업훈련조차 받지 않는 청년을 일컫는 니트(NEET)족은 지난해 기준 16.6%다. OECD 평균 13.2%보다 3.4% 포인트 높다. 멜 회장은 “이제는 가정부도 학위가 필요해졌다는 자조적 목소리도 나온다”면서 “부모세대는 투쟁을 통해 사회적 보장을 쟁취했지만, 지금 청년들은 복지가 줄고 있어 위기감을 느끼고 있다”고 말했다. 프랑스의 청년 빈곤율은 2014년 기준 12.6%(한국 9.0%)다.

멜 회장은 헬조선 풍조를 비난하는 한국 청년에게 포기하지 말고 투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멜 회장은 “빈곤의 부조리함을 모른 체하고 한국을 떠나는 것은 비겁하다”며 “그런 식으로 떠나지 말고, 진짜로 떠나고 싶다면 한국의 상황을 바꿔놓고 떠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글 사진 파리 이성원 기자 lsw1469@seoul.co.kr

2018-10-31 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