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신문 108주년 창간특집호] 선택! 2012, 대한민국 미래 가른다

[서울신문 108주년 창간특집호] 선택! 2012, 대한민국 미래 가른다

입력 2012-07-18 00:00
업데이트 2012-07-1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與野 차세대 리더 분야별 최강자는? 오피니언 리더 50인에게 물었습니다

우리 사회 여론 주도층은 차기 대선주자를 비롯한 여야의 지도자 가운데 새누리당 박근혜 전 비상대책위원장의 국정수행 능력을 가장 높이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지 확대
각 분야별 국정수행 능력을 묻는 질문에 박 전 위원장이 수위를 기록한 가운데 특히 외교·안보 분야를 가장 잘 이끌 것으로 기대했다. 박 전 위원장에 이어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은 경제, 민주통합당 손학규 상임고문은 국민통합, 민주통합당 문재인 상임고문과 김두관 전 경남도지사는 복지 분야에서 각각 다른 대선주자들에 비해 비교 우위에 있다고 평가됐다. 이는 서울신문이 우리 사회 각 분야 오피니언 리더 50명을 대상으로 지난달 26일부터 29일까지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확인됐다. 설문 이후 새누리당 정몽준·이재오 의원은 당내 대선후보 경선 불참을, 민주통합당 정동영 상임고문은 대선 불출마를 선언했다.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여야 대선후보 중 누가 외교·안보 정책을 가장 잘 수행할 것으로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전체의 46%인 23명이 박근혜 전 위원장을 꼽았다. 2위는 16%(8명)의 지지율을 기록한 손학규 상임고문이 차지했다. 이어 새누리당 정몽준 의원과 민주당 정동영 상임고문 각 8%(4명), 김두관 전 경남지사 6%(3명) 등의 순이었다. 안철수 원장과 문재인 상임고문, 정운찬 전 총리는 각각 4%(2명)에 그쳤다.

경제 분야에서는 박근혜 전 위원장이 30%(15명), 안철수 원장이 22%(11명)의 지지율로 양강 구도를 형성했다. 김두관 전 지사와 손학규 상임고문이 각각 10%(5명)로 뒤를 이었다. 이어 김문수 경기도지사가 8%(4명), 임태희 전 대통령실장과 정세균 상임고문이 각각 6%(3명), 정운찬 전 총리 4%(2명) 등이었다. 국민통합 분야에서는 박근혜 전 위원장이 26%(13명), 손학규 상임고문과 안 원장이 각각 20%(10명), 김두관 전 지사 16%(8명), 문재인 상임고문 12%(6명) 등 무려 5명의 후보가 두 자릿수 지지율을 나타냈다. 복지 분야에서도 박근혜 전 위원장이 26%(13명)로 수위를 차지했고, 문재인 상임고문이 22%(11명), 김두관 전 지사가 20%(10명), 안 원장이 12%(6명)를 기록하며 뒤를 이었다.

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

그래픽 강미란기자 mrkang@seoul.co.kr

●알려 드립니다 오피니언리더 설문조사 이후 새누리당 정몽준·이재오 의원과 민주통합당 정동영 상임고문이 각각 당내 대선후보 경선 불참 의사를 밝혔습니다. 제작 관계상 이를 반영하지 못한 점, 독자 여러분의 양해를 바랍니다.

2012-07-18 33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