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천루, 축복인가 재앙인가] 세계 10위권 중 7개, 최근 3~4년 사이에 신축

[마천루, 축복인가 재앙인가] 세계 10위권 중 7개, 최근 3~4년 사이에 신축

입력 2012-07-18 00:00
업데이트 2012-07-1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해외에선

전 세계 도시들의 마천루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세계 초고층 빌딩 순위가 하루가 다르게 바뀌고 있다. 세계 초고층 빌딩 10위권에는 최근 3~4년 사이에 지어진 건물들이 무려 7개나 차지하고 있다.

이미지 확대


1931년 완공돼 한때는 초고층 빌딩의 상징이던 미국 뉴욕의 엠파이어 스테이트빌딩(381m, 102층)은 10위권 밖으로 밀려난 지 오래다. 초고층 빌딩이 경제 성장의 상징이 되면서 세계 도시들이 앞다퉈 초고층 빌딩을 짓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경제가 급성장하고 있는 중국과 아랍에미리트연합(UAE)이 이 흐름에 가세하면서 초고층 빌딩 지도를 바꾸고 있다.

●UAE 두바이의 ‘부르즈 칼리파’ 가장 높아

현재 세계에서 가장 높은 건물은 2010년 완공된 UAE 두바이의 부르즈 칼리파(828m, 163층)이다. 하지만 두바이에는 부르즈 칼리파에 이어 두바이 시티타워(2400m, 400층), 나일 하버뷰 타워(1140m), 알 부르즈 타워(1050m) 등이 계획돼 있어 순위가 바뀌는 것은 또다시 시간문제가 됐다. 2위는 지난해 완공된 사우디아라비아 메카에 있는 메카 오량클락타워호텔로 601m(95층)에 이른다. 특히 중국 도시들이 10권 내에 4개나 차지하고 있다. 상하이 금융센터(492m, 101층)와 홍콩국제상업센터(484m, 108층)가 각각 4위와 5위에 올랐다. 또 난징 그린랜드 파이낸셜 콤플렉스(450m, 89층)와 광저우 국제금융센터(437.5m, 103층)도 7위와 9위를 차지했다.

●가장 오래된 건물은 美 시카고 윌리스 타워

10위권 내 초고층 빌딩 중 가장 오래된 것은 미국 시카고의 윌리스(시어즈) 타워(442m, 108층)로 8위에 올랐다. 또 2004년 완공된 타이베이 101빌딩(508m, 101층)이 3위에 올랐고 1998년 지어진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의 페트로나스 트윈타워(452m, 88층)가 6위를 차지했다.

그러나 이 같은 순위도 오래가지 못할 것으로 예측된다. 상하이는 지난해에 경제특구인 푸둥지구에 632m짜리 상하이센터 건립에 착수해 오는 2014년에 완공할 계획이다. 또 선전에 2014년 말 646m(115층)짜리 초고층 빌딩인 핑안국제 금융센터가 건설될 예정이다.

초고층 빌딩은 미국 뉴욕이 가장 많지만 조만간 중국 도시들이 이를 추월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중국 언론인 법제만보(法制晩報)에 따르면 200m 이상 건물은 미국 뉴욕이 35개로 선두를 차지했고 홍콩이 30개로 뒤를 이었다. 두바이가 25개, 상하이가 21개로 각각 3위와 4위를 차지했다. 시카고와 선전이 각각 17개와 13개로 5, 6위를 기록했다. 이어 일본 도쿄(11개), 미국 휴스턴(10개), 싱가포르(10개), 미국 로스앤젤레스(8개)가 뒤를 이었다.

조현석기자 hyun68@seoul.co.kr

2012-07-18 5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