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상 108년 5대 변천사] 한국 외식문화 변천사

[밥상 108년 5대 변천사] 한국 외식문화 변천사

입력 2012-07-18 00:00
업데이트 2012-07-1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내 프랜차이즈 식당 1호점은? 신문 광고 낸 최초 식당은?

꽃미남 배우들이 떼로 나와 화제가 됐던 드라마 ‘성균관 스캔들’의 배경은 고려 말에 지어진 성균관이다. 유생들이 200명 넘게 함께 살며 공부하던 곳이다.

조선시대 들어 태조가 1398년 이곳에 부속건물을 지었다. 바로 유생들의 기숙사 겸 식당인 명륜당이었다. 집이 아닌 바깥에서 여러 명이 밥을 먹는 공간의 시초이기도 했다. 식당이란 말도 이 무렵의 ‘진사식당’(進士食堂)이란 표현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이후 18세기 들어 보부상들이 늘어나면서 주막이 생겼고 5일장이 활기를 띠면서 ‘외식’(外食)도 함께 발달하기 시작했다. 1902년에는 서양식 식당도 등장했다. 독일 여성 손탁이 서울 정동의 가옥을 고종에게서 하사받아 2층식 호텔(손탁 호텔)로 개조해 그 안에 식당과 귀빈실을 지은 것이다. 외교관들의 단골 모임 장소로 자리 잡으며 한 시대를 풍미했으나 지금은 터만 남아 있다.

흥미로운 점은 웨스틴조선호텔의 나인스 게이트와 서울역의 그릴도 ‘한국 최초의 양식당’을 표방한다는 사실이다. 나인스 게이트의 전신은 1924년에 문을 연 ‘팜코트’로 외교 공관 성격이 짙었던 손탁호텔과 달리 상업적인 식당이라는 점에서, 1925년 경성역사에 들어선 ‘그릴’은 일반 대중을 상대로 했다는 점에서 각각 ‘최초’를 주장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릴은 정부가 지난해 옛 서울역사를 복원하면서 식당도 옛 이름 그대로 다시 꾸며 ‘추억의 돈가스’를 맛볼 수 있다.

그렇다면 신문 광고를 낸 최초의 식당은 어디일까. 1906년 당시 일간지였던 ‘만세보’에 광고를 실은 요릿집 명월관이다. 국내 프랜차이즈 식당 1호는 1979년에 생긴 난다랑이다. 햄버거집 1호인 롯데리아가 등장한 것도 그해 10월이다. 1988년 올림픽을 치르면서 외식산업은 비약적으로 도약했다. 패밀리 레스토랑인 TGI 프라이데이(1991년), 시즐러(1993년), 베니건스(1995년) 등이 잇따라 생겨나면서 외식은 더 이상 특별한 ‘이벤트’가 아닌 ‘일상’으로 자리 잡았다. 지금은 서울 신사동 가로수길, 이태원, 홍익대 앞 등에서 보듯 주방장(셰프)이 저마다의 개성을 요리에 담아 내는 ‘셰프 레스토랑’이 대세다.

안미현기자 hyun@seoul.co.kr

정답:① 난다랑 (1979년) ② 명월관

(1906년 일간지 만세보 게재)

2012-07-18 6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