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미진진 견문기] 옛 간이역서 추억 소환하고… 선수촌선 한국체육사 실감

[흥미진진 견문기] 옛 간이역서 추억 소환하고… 선수촌선 한국체육사 실감

입력 2018-06-27 23:04
업데이트 2018-06-28 02: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첫 장소인 경춘선 폐철로로 가는 길은 전날 ‘불타는 밤’을 보낸 흔적들이 역력했다. 인도와 인접한 도로 가까이에 여러 개씩 포개진 플라스틱 의자들과 술병들을 한데 담아 둔 거대한 쓰레기 뭉치들이 불과 몇 시간 전의 상황을 말해 주는 듯했다. 1939년 세워진 경춘선 폐철길에서 참가자들은 앞다퉈 안내 표지판을 사진으로 찍어 자신이 서 있는 위치를 확인하며 설명을 들었다.
이미지 확대
이지현(책마루 연구원)
이지현(책마루 연구원)
길을 따라 걷다가 참가자 중 몇 명의 이야기를 우연히 듣게 되었다. 고향이 춘천이라 특별한 추억이 있다는 이야기, 춘천행 비둘기호 열차를 타고 공지천에 가서 커피 한잔 마시고 온 이야기, 서울로 통학하며 기차를 놓칠세라 정신없이 뛰어서 간신히 기차에 오르기도 여러 번 했다는 이야기 등이었다. 기차만 탔다 하면 “첫째 칸부터 마지막 칸까지 돌며 반가운 동네 얼굴들을 찾아다녔던 재미가 있었다”라고 추억했다. 폐선로 곁의 생태공원을 따라 걸을 때는 그 시절로 돌아간 듯 선로에 서서 두 팔을 벌리며 추억에 잠기는 모습도 보였다. 폐선로 곁의 생태공원을 따라 걸으며 해설사가 틀어 준 ‘춘천 가는 기차’라는 노래에 취해 그 시절의 감상에 잠시 젖기도 했다.

기차 선로와 채 5m도 안 돼 있던 인근의 낡고 오래된 주택들이 눈에 들어오기 시작했다. 기차가 밤낮없이 달려 시끄러워도 ‘기찻길 옆 오막살이의 아기는 잘도 자고, 신혼부부는 더없이 행복했더라’는 노랫말과 이야기는 가난이 꼭 불행은 아니라고 말해 주고 있었다. 선로를 따라 걷는 공원의 끝자락에는 지금은 폐역이 된 화랑대역이 있었다. 지역주민들의 도움으로 여러 가지 꽃들이 심겨진 화단은 연인들의 데이트 장소로, 가족들의 주말 나들이 장소로 명소가 되었다. 소박하지만 조용하고 옛 간이역의 흔적을 고스란히 남긴 역사와 낡고 오래된 기차를 보니 추억이 절로 소환돼 사진을 찍는 손놀림이 바빠졌다.

마지막 코스인 태릉선수촌에서 개선관과 월계관을 둘러보았다. 클라이밍 로프를 타 보기도 하고, 체조 선수들이 뛰는 마루에도 직접 올라 보았다. 한국체육사의 현장이라는 실감이 났다.

이지현(책마루 연구원)

2018-06-28 1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